남북한 인구의 장기전망과 인구학적 비교 분석

  • 이시백 (서울여자교 보건대학원)
  • Published : 1985.12.01

Abstract

This study describes the effects of demographic transition on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Korea. The basic framework of this study is a path model.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population growth,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n the environmental deterioration. In doing this, this study illustrates the changing patterns of population growth,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is study also shows the changing pattern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focusing on air pollution, water pollution and wastes. Finally, this study deals with the consequences of the environmental deterioration, especially focusing on the changing quality of life in Korea.

이 글은 한국의 인구변천이 환경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규명하고 있다. 이 관계는 기본적으로 경로모형(path model)의 틀로서 설명되고 있다. 인구증가는 그 자체만으로도 직접적으로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인구증가는 또한 각각 도시화 및 산업화를 유발시킴으로서 환경오염의 간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한편, 도시화와 산업화는 서로 상승작용을 통해서 환경오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은 이론적 틀에 입각하여 한국의 인구성장, 도시화 및 공업화의 추세를 살펴보고 이들 요인들이 환경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분석하고 있다. 또한 환경오염의 변화양태를 대기오염과 수질오염 그리고 폐기물의 변화추세로써 살펴보고 있다. 마지막으로 환경변화의 결과가 한국적인 상황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가 논의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