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Cheese Slurry prepared from Caseinates

카세인을 이용한 치즈곤죽의 발효특성

  • Jang, Hae-Do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Hyong-Jo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85.10.30

Abstract

To shorten the processing of cheese slurry, four different slurries, ie, Control, Cheddar 1 and 2, and Italian-type that were made of Na-caseinates, cream, trace elements, lactic culture, and enzymes were fermented at $30^{\circ}C$ for 7days with daily stirring. PH, titratable acidity, soluble nitrogen, viable cell count, active SH groups, total volatile fatty acid, free fatty acid, electrophoretic patterns of degraded caseins, and viscosity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ermented slurries. Acid production was accelerated in the cheese slurries with protease than that without the enzyme and PH of the former was decreased after three days of fermentation to 4.90. The Change of titratable acidity agreed to PH patterns. Soluble nitrogen of the Control slurry was increased slowly for four days and then rapidly to 40% of total nitrogen while those containing protease to 70%. The protease of lactic cultures used (Streptococcus lactis and Streptococcus cremoris) broke down as-casein more rapidly than $\beta$-casein and most proteins were degraded to peptides and amino acids after three days of fermentation. Total volatile fatty acids were increased by added lipase and free fatty acids composition analyzed by GLC in cheddar slurry with 0.00001% lipase was similar to that of commercial cheddar cheese, while that in Italian-type slurry was a half of that in commercial Italian cheese. Active SH groups were increased in the cheese slurries with glutathione from fourth day of fermentation. The viscosity of slurries decreased very rapidly by addition of protease.

치즈곤죽의 제조공정과 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 생치즈 커드를 제조하지 않고 Na-caseinates, cream, 여러가지 미량성분, 유산종균, 효소를 혼합하여 치즈곤죽을 제조하고 $30^{\circ}C$에서 매일 30초간 교반하면서 7일 동안 발효시킨 다음 치즈곤죽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수소이온 농도, 적정산도, 수용성 질소, 생균수, 활성 SH기, 총 휘발성산, 유리 지방산. 전기영동에 의한 단백질분해를 분석하였다. 유산균에 의한 산생성은 단백질분해효소를 첨가하지 않은 치즈곤죽보다 첨가한 치즈곤죽에서 더 잘발히 일어나 3일 후에는 PH를 4.90이하로 떨어뜨려 5N NaOH로 PH를 5.40으로 조정해 주었으며 이후에 pH는 약간 증가하였고, 적정산도의 변화는 pH변화와 비슷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단백짙분해효소를 첨가하지 많은 치즈곤죽은 발효가 끝났을 때 총 질소의 약 40%가 수용성 질소로 되었으나 효소를 첨가한 치즈곤죽은 70%정도의 단백질이 수용성 질소로 분해되었다. 사용한 유산종균. 즉 Streptococcus lactis와 treptococcus cremoris에 의한 단백질 분해는 Cheddar치즈에서와 같이 as-casein이 $\beta$-casein보다 먼저 분해되며, 첨가한 단백질분해호소는 $\alpha$-casein과$\beta$-casein을 모두 활발히 분해 시켜 3일이 지나면 모든 단백질이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으로 되었다. 단백질 분해효소를 첨가한 치즈곤죽에서는 쓴맛 펩타이드가 형성되었다가 사라짐을 관찰할수 있었다. 한편 지질분해효소를 침가할 경우 총 휘발성산이 4일 이후에 급격히 증가함을 통해 사용한 효소는 유지방을 잘 분해함을 알 수 있었으며 GLC에 의한 유리 지방산의 분석 결과는 Cheddar치즈곤죽은 시판Cheddar 치즈와 비슷하고 Italian형 치즈곤죽은 시판 Italian치즈보다 약간 떨어졌다. Cheddar치즈의 중요한 품미성분인 활성 SH기는 glutathione을 첨가한 치즈곤죽에서 발효 4일부터 증가하였으며 단백질분해효소를 함께 첨가할 경우 그 증가현상이 현저하였다. 단백질분해요소의 첨가유무에 따라 점도 변화는 다른 두 가지 양상으로 나타나 효소를 첨가할 경우 단백질이 분해됨에 따라 점도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