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문교부
During last 10 years we experienced 25 cases of C.N.S. cysticercosis. Now clinical analysis and evaluation of our cases were made and the results are followings: 1. Prevalence in man and women are nearly same and about 70% of cases are distributed between 20-50 years old. 2. According to Nieto's classification, mostly are ventricular (44%) and parenchymal type (36%). 3. Clinical manifestations were IICP (92%), focal neurological deficits (68%), seizure (48%), altered mental status (36%) and others listed on table 7. 4. In ventricular type, IICP and cerebellar dysfuction signs were predominated but seizure and focal neurological deficits were commonly seen in parenchymal type. 5. Subcutaneous cysticercus nodules were palpated in 32 % of cases. 6. Positive stool ova was observed in 29% of cases. 7. Radiologic studies revealed as followings: 16 % of cases showed abnormal findings on plain film, 84% on angiography, 94% on ventriculography and 100% on computed tomography and myelography. Computed tomography looks like most helpful diagnostic method for C.N.S. cysticercosis, they ususally revealed lucent cystic lesion, hydrocephalic findings and contrast enhancement. 8. Suboccipital craniectomy, craniotomy with removal of parenchymal cyst or laminectomy were done according to location and types of lesion. 72 % of operated cases revealed good results and motarlity was 4 % of cases.
저자들이 지난 10년간 치험했던 25예의 중추신경계 낭미충증 환자를 임상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령분포는 20-50세 사이가 약 70%로 대부분이었고 남여별 빈도는 거의 비슷했다. 2. 임상증상의 기간은 대부분이 6개월 미만이었고 뇌실질형에서는 주로 간질발작, 국소신경이상소견, 뇌압항진소견등을 보인 반면 뇌실형에서는 뇌압항진소견과 소뇌이상소견을 주로 보였다. 3. Nieto 분류방법에 따라서 보면 뇌실형이 44%, 뇌실질형이 36%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4. 뇌신경마비는 제6 뇌신경마비, 제7 뇌신경마비의 순으로 그 빈도가 나타났다. 5. 피하결절은 32%에서 촉지할 수 있었다. 6. 변검사상 충란은 20%에서 검출됐고, 호산구의 증가는 12%, 뇌척수액 담백질 증가는 80%, 혈침의 증가는 20%에서 볼 수 있었다. 7.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이상소견은 단순촬영상 17%, 뇌동맥조영술상 84%, 뇌실조영술상 94%에서 나타났고 콤퓨터 단층촬영상 이상소견은 시행했던 10예 모두 이상소견을 보였으며 이 방법이 뇌낭충증 진단에 가장 정확한 진단방법이라고 판단된다. 8. 수술은 24예에서 25회 실시됐고 그 결과 약 72%에서는 호전이 됐고 24%는 변화가 없었으며 4%에서는 입원중 사망했다. 제4뇌실 낭미충증의 경우가 수술후 가장 좋은 예후를 보였고 후두와 개두술과 낭종의 흡인방법으로 비교적 쉽게 낭종의 제거가 가능했다.
Supported by : 문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