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tachlor, Terbutryn과 Methabenzthiazuron에 대한 보리의 품종간(品種間) 반응차이(反應差異)

Response of Barley Cultivars to Butachlor, Terbutryn, and Methabenzthiazuron

  • 발행 : 1983.06.30

초록

보리 피맥(皮麥) 8품종(品種) 과맥(稞麥) butachlor, terbutryn과 methabenzthiazuron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였다. 1. Butachlor는 표준 추천약량인 147g/10a에서 모든 품종(品種)은 약해(藥害)를 받지 않았으나 2 배량 이상의 수준에서 피맥(皮麥)의 올보리, 동보리 1호와 강보리에서 약간의 약해 증상을 나타냈다. 2. Terbutryn에 대한 약해 반응은 피맥품종(皮麥品種)보다 과맥품종(稞麥品種)에서 현저하게 나타났으며 표준 처리약량인 175 g/10 a에서 피맥품종(皮麥品種)은 약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과맥품종(稞麥品種)중에서 이리 4호는 약간 심한 약해를 나타냈다. terbutryn 350g/10a에서 피맥품종(皮麥品種)의 동보리, 부호보리와 부농보리는 다소 심한 약해를 보였고, 과맥품종(稞麥品種)의 방사 6호, 광성, 논산과 1~6 호와 이리 4호는 심한 약해를 나타냈다. 3. Methabenzthiazuron은 표준약량인 245g/10a에서 모든 품종은 약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2배 이상의 수준에서도 피맥(皮麥)은 약해를 받지 않았으나 과맥(稞麥)의 광성, 방사 6호와 논산과 1~6호는 경미한 약해를 보였고 이리 4 호는 심한 약해 증상을 나타냈다. 4. Butachlor, terbutryn과 methabenzthiazuron의 표준 추천량에서 보리의 건물중(乾物重)은 감소되지 않았으나 terbutryn은 추천량의 2배 수준인 350g/10a 이상에서 건물중(乾物重)은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특히 과맥품종(稞麥品種)은 피맥품종(皮麥品種)에 비하여 그 경향은 더욱 심하였다. 5 피맥(皮麥)의 오월보리, 동보리 1 호, 조강보리와 과맥(稞麥)의 백동, 방사 6호와 광성은 butachlor 처리에 의하여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이 약간 감소된 경향이었다. 오월보리, 올보리와 논산과 1~6호의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은 terbutryn 175g/10a 처리에 의하여 약간 감소되었으나 추천량의 2배인 350g/10a 이상의 수준에서는 모든 품종에서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은 현저히 감반되었으며 특히 과맥품종(稞麥品種)에서 그 경향은 더욱 현저하였다. methabenzthiazuron을 처 리 하였을 때는 피맥(皮麥)의 조강보리, 동보리 1호와 오월보리, 과맥(稞麥)의 백동, 광성과 논산과 1~6 호에서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은 약간 감소되었다.

Responses of barley cultivars including 8 covered barley cultivars and 8 naked barley cultivars to butachlor, terbutryn, and methabenzthiazuron were evaluated by determinating crop injury, dry weight and chlorophyll content of barley seedlings. Most barley cultivars were tolerant to butachlor at 1478 ai/10a (recommended rate) but Olbori, Dongbori, and Gangbori were slightly sensitive to butachlor at 294g ai/10a. Sensitivity to terbutryn was generally greater in naked barley cultivars than hulled barley cultivars. Dongbori, Buhobori, and Bunong of hulled barley and Bangsa #6, Kwangseung, Nonsangwa # 1-6, and Iri #4 of naked barley were highly sensitive to terbutryn at 350g ai/10a (double dosage). Most barley cultivars were relatively tolerant to methabenzthiazuron except Iri #4. Dry weight of barley seedlings was not reduced by butachlor, terbutryn, and methabenzthiazuron at recommended rate. However, terbutryn at 350g ai/l0a greatly reduced dry weight of all barley cultivars, especially naked barley cultivars. Chlorophyll content of Owealbori, Dongbori #1, Jogangbori, Bangsa #6, Backdong, and Kwangseung was slightly reduced by butachlor. Terbutryn at 175g ai/10a reduced chlorophyll content of Owealbori, Olbori, and Nonsangwa #1-6 and all cultivars were greatly reduced by terbutryn at 350g ai/10a. Methabenzthiazuron slightly reduced chlorophyll content of Jogangbori, Dongbori #1, Owealbori, Backdong, Kwangseung, and Nonsangwa # 1-6.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