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지방에서 염주, 율무, 옥수수, 수수-수단그래스 교잡종의 사료생산성에 관한 연구

Forage Productivity of Job′s Tears, Adlay, Corn and Sorghum-sudangrass Hybrid in Southern Part of Korea

  • 이석순 (영남대학교 농축산대학) ;
  • 정근기 (영남대학교 농축산대학) ;
  • 배동호 (영남대학교 농축산대학) ;
  • 김병도 (영남대학교 농축산대학)
  • 발행 : 1983.10.01

초록

옥수수 흑조위축병의 이병이 심한 남부평야지에서 사일리지 옥수수의 대체 작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율무 2품종, 염주 2품종, 수수-수단그래스 교잡종 1품종(Pioneer-988), 옥수수 1품종(광옥)을 공시하여 사료생산성을 검토하고 또 조사료생산에 알맞는 율무와 염주품종의 생육특성을 비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발로 인하여 발아가 지연되어 파종에서 출현까지 일수는 율무와 염주는 30-34일, 수수-수단그래스 교잡종은 18일, 옥수수는 19일이 소요되었다. 2. 생체수량은 율무와 염주를 개화후 40일에 1회 예취한 것과 개화기마다 2회 예취한 것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건물수량 및 가소화건물생산량은 개화후 40일에 1회 예취한 것이 2회 예취한 것보다 많았다. 3. 개화후 40일에 1회 예취한 율무 및 염주의 건물수량은 3회 예취한 수수-수단그래스 교잡종과 차이가 없었으나 옥수수보다는 건물수량이 높았으며 2회 예취한 율무 및 염주의 건물수량은 옥수수 보다 낮았다. 가소화건물생산량은 수수-수단그래스 교잡종이 가장 높고, 옥수수, 염주품종 1의 1회 예취가 그 다음이며 2회 예취한 율무와 염주의 가소화건물생산량이 가장 낮았다. 4. 율무와 염주의 초기생육 및 예취후 재생력은 수수-수단그래스 교잡종보다 현저히 낮았다. 5. 옥수수는 대부분이 흑조위축병에 이병되었고 간장, 수장, 수중, 건물수량 등은 현저히 감소되었다. 6. 율무와 염주 품종 중 사료생산에 알맞는 것은 포가 두껍고 종자가 구형인 염주품종이었으며 초장이 크며, 간경이 굵고, 엽신폭이 넓고, 생초 및 건물수량이 높고 엽신이 총건물중에 차지하는 비율이 커서 조사료생산에는 타 율무 및 염주품종보다 우수하였다. 7. 조곡수량은 율무 및 염주의 품종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염주 품종은 포가 두꺼워 정곡/조곡 비율이 현지히 낮아 정곡수량은 율무품종이 염주품종보다 현저히 높았다.

Forage productivity of Job's tears (Coix lachryma-jobi L.) and adlay (C. lachryma-jobi var. mayuen (ROMAN.) STAPF) and a hybrid corn (Kwangog) and sorghum-sudangrass hybrid (Pioneer 988) was compared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where black streaked dwarf virus' (BSDV) is prevalent. Emergence of Job's tears and adlay was more delayed compared to a corn or sorghum-sudangrass hybrid under the drought field conditions. Early growth and regrowth of Job's tears and adlay were less than those of sorghum-sudangrass hybrid. Fresh weight, dry weight, and digestible dry matter of Job's tears and adlay cut once approximately 40 days after flowering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two cuts at every flowering stage. Dry weight of one-cut Job's tears and ad lay harvested 40 days after flowering was similar to the total dry weight of three-cut sorghum-sudangrass hybrid but higher than that of silage corn. Digestible dry matter production was greater in the order of sorghum-sudangrass, corn, one-cut and two-cut Job's tears and adlay. Corn was severely infected with BSDV, but digestible dry matter was relatively high due to its higher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Among the Job's tears and adlay varieties, a variety of Job's tears with globular fruit shape was best for forage production due to its taller plant height, thick stem, wider leaf blades, higher leaf blade/total dry weight ratio, and higher forage yield. However, hulled grain yield of ad lay varieties was higher than that of Job's tears due to a higher hulled/rough grain ratio although they had similar rough grain yield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