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igation on Digital Terrain Model

수치지형모형(數値地形模型)에 관한 연구(硏究)

  • Received : 1982.03.04
  • Published : 1982.03.31

Abstract

DTM data evaluation regards accuracy and efficiency as its most important parameters, and these two elements are sensitively influenced by the sampling technique employed and its procedure. This study attempts to improve sampling techniques and evaluate the accuracy of DTM based on earth volume calculation, using aerial photography and field survey information as basic DTM data, and a regular grid and progressive sampling method for sampling process. Especially, the progressive sampling has employed different combinations of threshold and sampling criteria, that is, parameters influential on efficiency and accuracy, for the purpose of numerical tests intended to permit comparative analysis. The tests have resulted in the findings that in progressive sampling its grid density fits in well with given terrain characteristics in proportion to their variability. and that threshold and accuracy contain close mutual relations in which an increased threshold bringing more efficency but less accuracy. It follows, therefore. that a threshold, when appropriately determined, can be of very efficient use for considerably broad applications, and particularly, will play a significant role in its application to such general civil engineering as earth volume calculation.

DTM을 평가(評價)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要素)는 정확성(正確性)과 효율성(效率性)이다. DTM의 표본추출법(標本抽出法)과 그 과정(過程)은 두 요소(要素)에 크게 영향을 준다.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DTM으 효과적(効果的)인 표본추출법(標本抽出法)의 개선과 토공량(土工量)산출을 토대로 한 DTM의 정확도(正確度)를 수치시험에 의해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항공사진(航空寫眞)과 현장실측자료(現場實測資料)를 DTM의 기본자료(基本資料)로 하였으며 표본추출법(標本抽出法)으로서는 정규격자망법(正規格子網法)과 밀도증가방법(密度增可方法)을 각각 적용(適用)하였다. 특히 밀도증가식(密度增加式) 표본추출(標本抽出)에서는 DTM의 효율성(効率性)과 정확도(正確度)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요소(要素), 즉(卽) 시산(示算)값과 추출조건(抽出條件)을 각각 다르게 적용하였다. 그 결과(結果), 밀도증가식(密度增加式) 표본추출법(標本抽出法)에 의해 추출(抽出)된 DTM 자료(資料)는 지형(地形) 및 지세의 복잡성에 비례하여 실제지형의 특성에 잘 부합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한편 시산(示算)값과 정확도(正確度)는 서로 밀접(密接)한 관계가 있으며, 시산(示算)값의 크기가 증가하였을 때 정확도(正確度)는 감소하였고 반대로 효율성(效率性)을 크게 증가되었다. 따라서 필요로 하는 정확도와 효율성을 동시에 충족 시킬 수 있도록 시산(示算)값을 결정하면 일반토목 분야의 토공량산출에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