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지나해의 해황과 선망어장의 분포$\cdot$변동에 관한 연구 1. 고등어$\cdot$전갱이 어장의 분포

Studies on the Distribution and Fluctuation of the Purse-Seine Fishing Grounds in Relation to Oceanographic Conditions in the East China Sea 1 . The Distribution of Mackerels and Jack Mackerel Fishing Grounds

  • 조규대 (부산수산대학 해양학과)
  • CHO Kyu-Dae (Dept. of Oceanograph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Busan)
  • 발행 : 1981.12.01

초록

동지나해에 있어서 전갱이$\cdot$고등어 어장의 분포가 해황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를 구명한다는 것은, 이들의 어황변동기구를 파악하는 데에 아주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된다. 그렇지만, 이제까지 동지나해에 있어서는 이들에 관하여 특정한 해역 혹은 기간을 대상으로 단편적인 연구는 있었으나, 해황이 어장분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그 실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우선 동지나해 및 일본해 서구에 있어서 대중형 선강무업에 의한 전갱이$\cdot$고등어류의 어획통계자료를 가지고 이들 어획양의 평균적인 분포(1968-1976) 실태를 상세히 검토하였다. 그 결과로서 다음과 같은 것이 명확하였다. 1. 1958율 이후의 '고등어류(주로 참고등어)'의 중요어장은 지나해 총면적의 약 $8\%$에 지나지 않는 일본해 (동해)의 사카이(경) 연안, 대마도 동쪽, 시라세(백광), 체주도 남서해에 이르는 대마난류역에 집중하여 있는 것이 밝혀졌다. 이들 해역의 어획양은 동지나해에 있어서 총어획양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1968율 이후의 '전갱이'의 중요어장은 시라세, 대마도 동쪽, 오도 남서해에 집중하여있었으며, 이들 어장의 어획양은 동지나해의 총어획양의 $54\%$를 차지하고 있다. 한편, 어획중이 매우 적은 해역은 총해, 중국연안, 시마네(도근)현연안, 동지나해 중부 중의 냉수역 및 흑조외측, 동해의200m 이심의 해역이었다. 2. 대마난류역의 각 어장에서는 '전갱이$\cdot$고등어류'의 어획양의 년변동이 비교적 작고 어황이 안정되어 있었으나, 동지나해 중부 및 서부, 구개 남서안, 총해역의 어장에서는 어획전의 변동이 컸다. 3. 조경주변에 있어서 '전갱이$\cdot$고등어'의 분포경형의 상위가 수온의 상달와 잘 대응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 즉, '전갱이'는 주로 대마난류의 조경역의 진수용(수온 $15^{\circ}C{\sim}20^{\circ}C$)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고등어류'의 분포 중심은 약간 냉수측(수온 $13^{\circ}C{\sim}16^{\circ}C$)에 위치하고 있었다. 금후는 동지나해 및 일본해 서부에 있어서 선망어업에 의한 전갱이$\cdot$고등어유의 어획양 분포에 대한 계절적 경년적인 변동, 특히 환경조건과의 관련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The East China Sea is an important region as nursery and spawning grounds for pelagic fishes such as jack mackerel, common mackerel etc. , and thus constitutes a major fishing area for purse-seine fishery. The environment surrounding in this region is under the influence of the Yellow Sea Cold Water, China Coastal Water and Kuroshio Curr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effects of oceanographic conditions and thermal fronts on the formation of the fishing grounds for the mackerels in the East China Sea. Through the analyses of fisheries statistics during 1968-1976 and temperature data, the following facts are found: 1) Approximately $70\%$ of the total mackerel(common) catches appeared to be come from the Tsushima Current region which includes Sakai coast of the Japan Sea, eastern Tsushima and Shirase Island, and Jeju Island of Korea. This area covers only about $8\%$ of the East China Sea. 2) Main fishing grounds for the jack mackerel are also centered around the area of southwestern Goto, Shirase and eastern Tsushima Island where the catches accounted for about $54\%$ of the total jack mackerel catches. 3) Fluctuations in annual catches are relatively small in the Tsushima Current region, compared to other regions such as Yellow Sea, southwestern coast of Kyushu and mid-western part of the East China Sea, where the fisheries yields varied considerably due to unstable fishing conditions. 4) It appears that the fishing grounds for the jack mackerel are mainly distributed along the warmer region ($15-20^{\circ}C$) of the thermal front, and those for the common mackerel are in somewhat colder region ($13-16^{\circ}C$) in the Tsushima Curre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