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제약조건계획법(確率制約條件計劃法)을 이용(利用)한 자본예산모형(資本豫算模型)

A New Chance-Constrained Programming Approach to Capital Budgeting

  • 발행 : 1980.12.31

초록

본(本) 연구(硏究)는 투자안(投資案)들간의 상호관계(相互關係) 및 위험(危險)을 고려한 자본예산문제(資本豫算問題)를 다루고 있다. 기존(旣存)의 개발(開發)된 모형(模型)은 확률제약조건계획모형(確率制約條件計劃模型) 및 기대효용극대화모형(期待效用極大化模型)의 두 범주(範疇)로 구분(區分)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목적함수(目的凾數)가 다소 제약적(制約的)이며 위험(危險)을 직접적인 형태로 고려하지 않고 있는 반면에 후자는 기대효용(期待效用)에 대한 근사치(近似値)를 사용하기 때문에 투자결정(投資決定)이 최적화(最摘化)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본(本) 연구(硏究)는 목적함수(目的凾數)를 보다 일반적(一般的)인 형태로 수정(修正) 보완(補完)함으로써 현실적용성(現實適用性)을 높이고자 하였다. 해법절차(解法節次)로는, 자본예산문제(資本豫算問題)를 우선 비선형(非線型) 0-1 정수계획(整數計劃) 문제로 정식화(定式化)하고, 이를 선형(線型) 0-1 정수계획(整數計劃)문제로 변형(變形)하여 원문제(原問題)의 하한(下限)을 찾은 후 B&B 연산법(演算法)으로 원문제(原問題)의 최적해(最適解)를 구하고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capital budgeting problem of a firm where investments are risky and interrelated. The established models might b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the chance-constrained programming model and the other is the expected utility maximization model. The former has a rather limited objective function and does not consider the risk in direct manner. The latter, on the other hand, might lead to a wrong decision because it uses an approximate value of expected utility. This paper attempts to extend the applicability of the chance-constrained programming model by modifying its objective function into a more general form. The capital budgeting problem is formulated as a nonlinear 0-1 integer programming problem first, and is formulated into a linear 0-1 integer programming problem for finding a lower-bound solution of the original problem. The optimal solution of the original problem is then obtained by branch & bound algorith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