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lubilities Variations of Abies koreana Wilson Wood and their Correlations among the Extraction time, Temperature and pH value of the Solubility

구상나무재(材) 추출성분(抽出成分)의 추출시간(抽出時間) 온도(温度) 및 pH변동(變動)과 그 추출성분(抽出成分) 함량(含量)과의 관계(關係)

  • Received : 1979.09.10
  • Published : 1979.09.30

Abstract

The solubility variations of Abies koreana Wilson wood and their correlations ammong the factors which effect the extraction were investigated. In hot water solubility for 10 hours, extracted contents were 2.33% in heart wood, 12.30% in sapwood. In base solubility (here, used NaOH), the solubility content was 8.23% only for 1 hour. In organo-soluble fractions, there was not any variation between the content 4.00% for 1 hour and 4.44% for 10 hours, about the temperature effect, in the neutral solvent, at temperature $25{\pm}3^{\circ}C$, $50{\pm}3^{\circ}C$ and $97{\pm}3^{\circ}C$ and the solubility contents were 2.73%, 3.29%, 7.32% respectably. In the pH variations, initinal pH of solution, 6.5 became as low 5.4 after 10 hours extraction. General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solubility and hour, solubility and temperature, solubilities' pH and hours, solubility and part, were r=0.890, r=0.986, r=-0.955, r=0.840 respectably. It is suggested that the most serious factor of the extraction in this material is the temperature.

우리나라 특산수종(特產樹種)인 구상나무재(材)를 시료(試料)로 하여 그 추출물(抽出物)의 추출시간(抽出時間), 온도별(溫度別)에 따른 추출함량(抽出含量)의 차이(差異)와 추출액(抽出液)의 pH 변동(變動) 및 각요인간(各要因間)의 상관성(相關性)을 조사(調査)하여 본바 열수추출물(熱水抽出物)에 있어서는 변재부(邊材部)는 10시간추출(時間抽出)에 2.33% 심재부(心材部)는 12.30%였고 NaOH 추출물(抽出物)에 있어서는 1시간추출(時間抽出)에 변심재(邊心材) 평균(平均) 8.23%로서 열수처리(熱水處理)의 10시간효과(時間効果)가 있었으며 유기용제(有機溶制) 추출(抽出)에 있어서는 최초(最初)의 1시간후(時間後)에 4.00%로서 10시간처리후(時間處理後)의 추출량(抽出量) 4.44%와 크게 차이(差異)가 없었다. 추출처리(抽出處理)의 온도효과(溫度効果)를 보면 중성용제(中性溶劑)에 있어서는 추출온도(抽出溫度) $25{\pm}3^{\circ}C$, $50{\pm}3^{\circ}C$, $97{\pm}3^{\circ}C$에서 각추출량(各抽出量) 2.73%, 3.29%, 7.32%로서 추출처리(抽出處理)에서 시간(時間)보다 온도(溫度)가 더욱 절대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이 시사(示唆)되었으며 염기추출물(鹽基抽出物)에 있어서는 그 경향이 더욱 현저(顯著)하였다. 추출처리중(抽出處理中)의 pH 변동(變動)은 심변재(心邊材) 공(共)히 최초(最初)의 pH 6.5에서 10시간후(時間後) 5.4까지 떨어졌다. 추출처리중(抽出處理中)의 각처리요인(各處理要因)의 결과(結果)와의 관계(關係)는 추출량(抽出量) 시간(時間)간에는 r=0.896, 추출량(抽出量)과 온도간(溫度間)에는 r=0.986, 추출액(抽出液)의 pH와 시간간(時間間)에는 r=-0.955, 추출량(抽出量)과 부위간(部位間)에는 r=0.840의 상관성(相關性)을 보였고 전체적(全體的)으로 볼 때 추출량(抽出量)과 온도간(溫度間)에 1% 수준의 높은 상관성(相關性)을 나타내었고 가장 상관성(相關性)이 낮은 것은 유기용제처리시(有機溶劑處理時)의 심재(心材), 변재(邊材)사이 추출물함량(抽出物含量)으로서 r=0.748(5% 수준미달)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