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Number of Sample Units for Yield Components (I)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를 위(爲)한 표본수(標本數)에 대(對)한 연구(硏究) (제(第)1보(報))

  • Oh, W.K. (Institute of Plant Environment Office of Rural Development) ;
  • Chang, S.H. (United Nations Special Fund for Korean Soil Fertility Project) ;
  • Lee, H.C. (United Nations Special Fund for Korean Soil Fertility Project)
  • 오왕근 (농촌 진흥청 식물환경연구소) ;
  • 장수환 (국제연합 한국토양비옥도사업기구) ;
  • 이희철 (국제연합 한국토양비옥도사업기구)
  • Published : 1969.04.30

Abstract

The necessary number of hills for panicle counts have been obtained, and are more in Kangwon-Do and Chulla Nam-Do where the variability of sampling error is higher as compared to other provinces. It seems that number of samples do not depend on the latitude but on the variabilities of yield components within the province and it is considered that about 5% sampling fraction gives about 75 to 85% of relative information on the average.

1967년(年) 및 1968년도(年度)에 얻은 성적(成績)을 이용(利用)하여 주당(株當) 수수조사(數穗調査)에 필요(必要)한 표본수(標本數)를 계산(計算)한 바 타도(他道)에 비(比)하여 표본오차(標本誤差)가 큰 강원도(江原道)와 전라남도(全羅南道)에서 더 많은 표본(標本)을 취(取)하여야 하는것으로 생각된다.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를 위(爲)한 표본수(標本數)는 위도(緯度)에 따라 다른 것이 아니라 도내(道內)에서의 이들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의 변이성(變異性)에 따라 좌우(左右)된다고 보며 5%의 표본(標本)을 취(取)함으로서 약(約) 75% 내지(乃至) 85%의 상대적(相對的) 정보(情報)를 얻을수 있다고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