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전의 부위에 따르는 수량의 변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variation of mulberry yield in various parts of mulberry field

  • 발행 : 1969.12.01

초록

상전에 있어서 각 부위에 따르는 수량의 변이를 알고저 시험을 행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어떠한 품종이던지 중앙부보다 주변 부위가 수량이 많았다. 2. 상전의 방향에 따라서 볼 때는 항상 남쪽 외측이 가장 수량이 많았고 다음이 서쪽과 동쪽 외측이며 북쪽 외측도 상당히 많았다. 각 방향의 $\frac{1}{4}$내측부분도 중앙부보다 약간 많은 경향은 있었으나 큰 차는 없었다. 품종별로 볼 때에는 개량서반과 같은 발조수가 많고 절간이 짧은 소엽형의 품종은 이와 반대의 형질을 가진 노상보다 주변효과가 크다. 5. 시기적으로 볼 때에는 개량서반은 추잠기보다 춘잠기에 있어서 주변효과가 크지만 노상은 도리어 추기가 춘기보다 약간 크다. 6. 상엽중의 건물에 있어서도 거의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7. 이것을 종합해 보건데 상전을 조성할 때에 있어서는 주변 효과가 적은 동서로 긴 형태로 하는 것이 증수를 하는데 유리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mulberry yield in various parts of mulberry fiel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For all the varieties, higher yield was observed side part than in the middle part. 2.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field, the side faced south produced the highest yield, which was followed both side parts faced east and west. The side part fated north also produced relatively high yield. 3.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yield was obtained between the central part and the near the each side, even the former seemed to be some what higher in yield than the latter. 4. Such a variety as Kaeryangsuban havins small leaves on many twigs with small internodes appeared to have more side effect than the otherwise variety, i.e. Rosang. 5. The variety Kaeryangsuban, showed more side effect in spring than in Autumm, however Rosang showed reversed effect. 6.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leaf dry weight. 7. As a conclusion, it can he an important factor to increase yield to set up the mulberry field in east and west resulting less side effec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