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Korean Sweet Potatoes

'한국산(韓國産) 고구마의 화학적(化學的) 조성(組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 김호식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이춘영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김재욱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Published : 1963.03.31

Abstract

For the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Sweet potatoes grown in Korean soil, Suwon No. 118 and Suwon No. 147 were applied as the samples during growing period, and 15 varieties of swee tpotatoes as the samples or comparisons among them. As the results of the studies followings were obtained. Changes of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root tuber during growing period. 1. Total weights of root tubers and mean weight per root tuber were increased gradually as grew with the values of Suwon No. 147 is higher than that of Suwon No. 18 except the weight of Suwon No. 147 on September 9. 2. The moisture content of the roots were fairy uniform. 3. While the starch contents and crude starch yield in the root tuber were gradually increased with almost parallel as grew except the values of Suwon No. 147 on September 7. were markedly higher. 4. The total weight of the Sweet potatoes per Dan-Bo (about 0.25 acre) showed increased values with Suwon No. 147 is higher than Suwon No. 118 except the unexpected lower weight of Suwon No. 147 on September 9. and the crude starch yield of Suwon No. 147 per Dan-Bo also showed higher values than that of Suwon No. 18 with almost parallel increase of them as they grew. 5. Reducing sugar contents of them showed gradual decreases at earlier stages then increases at latter stages as grew, and total sugar and sucrose of them also showed gradual increases except extremly higher contents of Suwon No. 147 and lower values of Suwon No. 118 on September 9. 6. Total protein and soluble protein contents of them showed that initial and last stages of the growth are in higher values but middle stages are fairy low values with a little changes of difference between total protein, and soluble protein. The comparisons among those varieties. 7. The moisture contents of root tuber varies from 63% to 72% among them. 8. The starch contents of Suwon No. 18 (23.9%) is highest value among them, Ko-Ke No. 14 and Won-Ki successively lower and Dae-Nong No. 45 is the lowest one. Crude starch yield (%) of Ko-Ke No. 14 and Won-Ki successively lower and Dae-Nong No.45 is the lowest one. Crude starch yield (%) of Ko-Ke No. 147 is highest value, Suwon No. 118, Won-Ki are successively lower and Do-Ip is the lowest one. 9. Won-Ki is highest value in reducing sugar content, and Do-Ip No. 2 is lowest one in it. The sucrose content of Chil-Bok is highest and Won-Ki is lowest among them. Soluble total sugar content of Yu-Sim is in highest and Chun-Mi is in lowest value. 10. Total protein content showed that Suwon No. 147 is in highest value and Yu-Sim is in lowest one. On the other hand, soluble protein contents showed that Chil-Bok is in highest value and Yu-Sim is in lowest one.

우리나라에서 재배(栽培)되고 있는 고구마의 화학적조성(化學的組成)을 파악(把握)하기 위(爲)하여 현재(現在) 우량품종(優良品種)으로 장려하고 있는 수원(水原) 118호(號)와 수원(水原) 147호(號)의 두 품종(品種)에 대(對)하여 생육중(生育中)의 성분변화(成分變化)를 측정(測定)하고 수확후(收穫後)에 가장 보편적(普遍的)인 15품종(品種)에 대(對)한 화학성분(化學成分)을 분석(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생육중(生育中)의 성분변화 (成分變化) 1. 정량(藷量) 및 평균개체량(平均個體量)은 9월(月)7일(日)의 치(値)를 제외(除外)하고는 수원(水原) 147호(號)가 수원(水原) 118호(號)보다 많은데 생육기간(生育期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대체적(大體的)으로 증가(增加)되었다. 2. 수분(水分)은 7%에서 68% 사이에서 변화(變化)되였는데 품종간(品種間)의 차이(差異)는 볼 수 없었다. 3. 전분함량(澱粉含量) 및 조건분수율(組澱紛收率)은 9월(月)7일(日)의 분석치(分析値)를 제외(除外)하고 항상(恒常) 수원(水原) 18호(號)가 수원(水原) 147호(號)보다 높이 점차(漸次)로 증가(增加)되었으며 반당조전분수량(反當組澱紛收量)은 수원(水原) 147호(護)가 수원(水原) 118호(號)보다 높게 점차적(漸次的)으로 증가(增加)되었다. 4. 환원당함량(還元糖含量)은 차차 감소(減少)되여 8월하순(月下旬)부터 9월초순(月初旬)에 최소치(最小値)를 보였다가 9월하순이후(月下旬以後)에 점차(漸次) 증가(增加)되였으며 품종간(品種間)에는 생육초기(生育初期)에는 같았으나 그 이후(以後)에는 수원(水原) 147호(號)가 수원(水原) 118호(號)보다 전반적(全般的)으로 높았다. 자당(蔗糖) 및 가용성전당(可溶性全糖)의 함량(含量)은 차차 증가(增加)되였으나 9월(月)22일(日) 이후(以後)에는 자당함량(蔗糖含量)은 수원(水原) 118호(號)가 증가(增加)됨에 반(反)하여 수원(水原) 147호(號)는 감소(減少)되였고, 가용성전당함량(可溶性全糖含量)은 모두 증가(增加)되였다. 5. 전단백질(全蛋白質) 및 수용성단백질(水溶性蛋白質)의 함량(含量)은 생육초기(生育初期)에는 높았으나 차차 감소(減少)되여 9월(月)7일(日) 내지(乃至) 9월(月)22일(日)에는 최저치(最低値)를 보였다가 다시 증가(增加)되였다. 품종간(品種間)의 성분비교(成分比較) 1. 전분함량(澱粉含量)은 23.9%인 수원(水原) 18호(號)가 가장 높고 고계(高系) 14호(號), 원기(元氣)의 순서(順序)이며 16.%인 태농(台農) 45호(號)가 가장 낮고, 조전분수율(組澱粉收率)은 고계(高系) 14호(號)가 가장 높고 수원(水原) 118호(號), 원기(元氣)가 그다음이며 도입 1호(號)가 가장 낮다. 2. 환원당(還元糖)은 원기(元氣)가 가장 많고 도입(導入) 2호(號)가 가장 적었고 자당(蔗糖)은 칠복(七福)이 가장 많고 원기(元氣)가 가장 낮았으며 가용성전당(可溶性全糖)은 유심(琉心)이 가장 많고 천미(千美)가 가장 적었다. 3. 전단백질함량(全蛋白質含量)은 수원(水原) 147호(號)가 가장 높고 유심(琉心)이 가장 낮았으며 가용성단백질함량(可溶性蛋白質含量)은 칠복(七福)이 가장 높고 유심(琉心)이 가장 낮았으며 전단백질함량(全蛋白質含量)과 수용성단백질함량(水溶性蛋白質含量) 간(間)의 차이(差異)도 각각(各各) 상이(相異)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