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Livelihood Benefits and Basic Pension Receipts on Depression in the Elderly: Multimediation Effects of Health Status and Community Satisfaction

생계급여와 기초연금 수급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건강상태와 지역사회만족의 다중매개효과

  • Hyoung-Ha Lee (Dept. of Social Welfare, Kwang-Ju Women's University) ;
  • Mi-Jin Kim (Dept. of Social Welfare, Kwang-Ju Women's University) ;
  • Gwang-Ja Go (Dept. of Social Welfare, Kwang-Ju Women's University) ;
  • Yeo-Ran Kim (Dept. of Social Welfare, Kwang-Ju Women's University)
  • 이형하 (광주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미진 (광주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고광자 (광주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여란 (광주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Published : 2023.01.11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생계급여와 기초연금 수급, 건강상태, 지역사회만족, 우울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을 통해 노인의 우울 감소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자료는 2017년 노인실태조사 패널데이터 중 노인 본인이 직접 응답한 2,493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생계급여와 기초연금 수급은 노인의 건강상태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지역사회만족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우울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노인의 건강상태는 지역사회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노인의 지역사회만족은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노인의 생계급여와 기초연금 수급과 우울사이에서 건강상태, 지역사회만족의 다중매개효과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