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RT & Hierarchical Graph Convolution Neural Network based Emotion Analysis Model

BERT 및 계층 그래프 컨볼루션 신경망 기반 감성분석 모델

  • Published : 2022.10.03

Abstract

In the existing text sentiment analysis models, the entire text is usually directly modeled as a whole, and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text contents is less considered. However, in the practice of sentiment analysis, many texts are mixed with multiple emotions. If the semantic modeling of the whole is directly performed, it may increase the difficulty of the sentiment analysis model to judge the sentiment, making the model difficult to apply to the classification of mixed-sentiment sentences.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sentiment analysis model BHGCN that considers the text hierarchy. In this model, the output of hidden states of each layer of BERT is used as a node, and a directed connection is mad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ayers to construct a graph network with a semantic hierarchy. The model not only pays attention to layer-by-layer semantics, but also pays attention to hierarchical relationships. Suitable for handling mixed sentiment classification tasks. The comparativ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BHGCN model exhibits obvious competitive advantages.

기존 텍스트 감성 분석 모델에서는 일반적으로 전체 텍스트를 직접 모델링하고, 텍스트 내용 간의 계층적 관계를 덜 고려한다. 그러나 감정분석의 구현에서는 많은 텍스트가 여러 감정으로 뒤섞여 있다. 전체의 의미론적 모델링을 직접 수행하면 감성분석 모델의 판단 난도가 높아져 혼합 감정 문장의 분류에 적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텍스트 계층을 고려한 감성 분석 모델 BHGCN을 제안한다. 이 모델에서는 BERT의 각 레이어의 숨겨진 상태의 출력이 노드로 사용되며, 상위 레이어와 하위 레이어 사이에 직접 연결이 이루어져 의미 계층이 있는 그래프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BHGCN 모델은 계층별 의미론에 주의를 기울일 뿐만 아니라 계층적 관계에도 주의를 기울이기 때문에 혼합 감성 분류 작업을 처리하는 데 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비교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BHGCN 모델이 명백한 경쟁 우위를 보인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