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f SW Project English Teaching through PBL method in an Untact Environment

Untact 상황에서 PBL 교수법을 통한 SW 프로젝트 영어 지도 사례 연구

  • Published : 2021.10.03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occupational identity by examining the narrative of the life of a vocational training teacher with self-esteem in programming fields. The following six types of occupational identity were found: 'a positive image of a vocational training teacher(fits oneself)', 'I feel proud of myself while doing vocational training activities.', 'a teacher who continues to develop him/herself as an expert in the subject class', 'a teacher who immerses him/herself as an expert on student change and growth', 'a teacher engaged in leading activities to create opportunities for vocational training', and 'a teacher of continuous pursui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exploring the structure of occupational identity recognition and experience of its formation of a self-esteemed vocational training teacher in programming fields, which have not been studied.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상황 가운데 'SW프로젝트 영어'를 PBL 교수법으로 운영한 사례 연구를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있다. 교양 영어인 만큼 다양한 학년과 전공 학생들이 수강하였고 개강 직후 학생들의 영어 실력 및 SW 관련성을 판단하고자 설문을 시행하였다. 설문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수강 동기와 코로나-19 상황 가운데 어학 수업을 비대면으로 실시해야 함에 따라 적절한 교육과정 운영, 과제 운영을 구성할 수 있는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학생들의 SW 영어 교육에 대한 니즈를 파악 후, SW 관련 영어 실력 배양을 위한 퀴즈와 과제를 구성하였다. 매 과제에 대한 실시간 피드백으로 비대면 녹화콘텐츠 수업임에도 불구하고 1:1 피드백을 통하여 소통하며 학생들의 수업 진행을 점검하였다. 주간 퀴즈를 통한 수업 진도에 따른 학습을 유도하였고 주제와 관련된 과제를 통하여 SW 관련 영어를 학습하도록 하였다. 자신이 모르는 단어를 중심으로 SW 영어 단어장 만들기 및 본인의 목소리로 직접 예제를 녹음하는 과제를 마감까지 충분한 시간을 주어 수행토록 하였다. 과정이 종료되면서 학생들의 성적을 평가한 결과 AI/SW창의융합대학, 경영대학, 문화예술대학, 인문사회대학, 자연과학대학 순으로 학생들의 성적이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상황 가운데 SW 영어를 PBL(Project-Based Learning : 프로젝트 법)이라는 교수법을 통하여 수업을 운영함으로써 학생들의 SW 영어 성취도를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