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operation status of the AI convergence education major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교육대학원 AI융합교육전공 운영 현황 분석

  • Received : 2021.08.04
  • Accepted : 2021.08.06
  • Published : 2021.08.12

Abstract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AI convergence education courses of 38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 analysis frame was constructed in terms of basic subject classification, content field of subject, and detailed subject composition by field. And as a result of analysis through this frame,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subjects currently operated by thes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s very different from 14 subjects to 48 subjects.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it was urgent to develop a standard curriculum for the AI convergence education major operated by each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or the same purpose. The AI Convergence Education Major, which was established for the same purpose and operated in different forms, will eventually produce teachers with different competencies, so there is a risk of bringing confusion to the direction of AI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school field.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38개 교육대학원의 AI 융합교육 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초 교과목 구분, 교과목의 내용 분야 및 분야별 세부 과목 구성의 관점에서 분석 프레임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 프레임을 통해 분석한 결과, 전국 38개 인공지능 융합교육 대학원(41개 과정)에서 운영 중인 교과목의 수는 14과목부터 48과목으로 그 편차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동일한 목적으로 38개 교육대학원에서 운영되고 있는 AI융합교육전공에 대한 표준 교육과정의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외었다. 같은 목적으로 설립되어 다른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AI융합교육전공은 결국 서로 다른 역량을 갖춘 교사들을 배출하게 되므로 학교 현장에서의 AI융합교육의 방향에 혼성을 가져올 우려가 있다. 따라서 38개 교육대학원에 적용할 수 있는 표준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교육부, 17개 시·도교육청(주관: 경기도교육청)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결과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