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 게임 장르에서의 선입견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Preconceptions in Horror Game Genre

  • 이현정 (청강문화산업대학교 게임콘텐츠스쿨) ;
  • 김효남 (청강문화산업대학교 게임콘텐츠스쿨)
  • Lee, Hyun-Jung (Dept. of Game Contents, ChungKang College of Culture Industries) ;
  • Kim, Hyo-Nam (Dept. of Game Contents, ChungKang College of Culture Industries)
  • 발행 : 2021.01.21

초록

현재까지 나타나고 있는 공포 게임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 있다. 시각적으로 유저들의 눈을 감기느냐 아니면 심리적으로 유저들의 마음을 두렵게 사로잡느냐 하는 것으로 나뉘어 공포 게임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렇게 크게 두 가지로 나뉘고 있지만 이 두 가지를 또 나누어 시각적인 공포로는 점프 스케어, 즉 갑툭튀 방식의 플레이가 더 공포를 느끼는지 아니면 게임에 크리처가 나온다면 그 크리처의 모습만으로 공포감을 느끼는지, 심리적인 공포로는 크리처가 없는 심리 공포 게임이 무서운지 아니면 크리처가 있는 심리 공포 게임이 무서운지로 더 자세히 나누어 흔하디흔한 공포 게임들의 선입견을 찾아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유저들이 공포 게임을 접할 때 시각적으로 더 공포감이 느껴지는지 아니면 심리적으로 더 공포감이 느껴지는지에 대한 선입견 차이를 통계를 통해 설명하고 해당 공포심으로 공포 게임들의 공포 방향성을 어떻게 바뀌어야 할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