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를 활용한 언택트 시대의 1인 콘텐츠 유통 사례 분석

A Case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Cultural Contents in the Untact Era Using Big Data

  • 발행 : 2021.05.03

초록

코로나19 사태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면서 기존의 '대중문화'나 예능 프로그램들이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하지 못하게 되며 쇠퇴하게 되었다. 이후 생겨난 '언택트 콘텐츠'는 BTS의 '방방콘'과 같은 언택트 공연이나 글로벌한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인 넷플릭스의 급성장 등으로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글로벌하고 언택트한 콘텐츠들은 대부분 온라인과 디지털에서 이루어지며 이는 엄청난 양의 빅데이터를 쏟아내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언택트 콘텐츠의 유통과정에서 쏟아지는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은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하는 것에 많은 도움이 되며, 이에 따른 성장 기대치 또한 높을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해당 연구주제와 관련해 기존 연구에서 진행되었던 연구 사례들을 찾아보고, 이를 통해 빅데이터가 언택트 시대의 콘텐츠 유통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After the Korona 19, "social distancing" was implemented, existing "pop culture" or entertainment programs were unable to communicate in both directions and declined. Since then, "Untact content" has shown its potential to grow due to untouch performances such as BTS' "Bangbangcon" and the rapid growth of Netflix, a global OTT (online video service). In addition, most of the global and Untact content is online and digital, which means a huge amount of big data will be poured out. Therefore, analyzing the big data poured out during the distribution of untact content will help us identify consumers' needs, and the growth expectations will also be high. Therefore, we would like to explore the research cases that have been conducted in existing studies regarding the subject of the study and analyze how big data can affect the distribution of content in the Untact era.

키워드

과제정보

이 보고서(과제, 결과물)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재원으로 지원을 받아 수행된 사회 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의 연구 결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