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nterrupted Women's Certification Acquisition and Employment Rate

경력단절여성 자격증 취득과 취업률과의 연관성분석 연구

  • 이정원 (한밭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
  • 이충호 (한밭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 Published : 2021.05.03

Abstract

Most of the women in Korea are experiencing changes in their status as it is very difficult to re-access to the labor market due to life events ranging from marriage to re-employment. Therefore, in this study, a study was conducted in consideration of qualifications as a factor that can help women with career breaks in employment. As a data analysis method, exploratory data analysis (EDA), a statistical technique to find out structural characteristics, was used. Using the data of vocational training courses for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s in Korea, we studied how much the acquisition of a certificate is helpful for employment.

우리나라 여성의 대부분은 결혼부터 재취업에 이르는 생애사건으로 인한 노동시장으로의 재접근이 매우 어려운 상황으로 생애과정에서 경제활동 및 비경제활동 인구를 오가며 지위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력단절여성이 취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요인으로 자격증을 고려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데이터의 분석 방법으로는 구조적 특성을 알아내기 위한 통계적 기법인 탐색적 분석(Exploratory Data Analysis : EDA) 방법을 사용하였다. 우리나라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직업훈련과정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격증 취득이 취업에 얼마나 많은 도움이 되는지 연구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