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들의 창업가정신과 창업동기, 창업효능감과 창업의지와의 구조적관계모형

  • 김영대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
  • 배병윤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 발행 : 2020.06.27

초록

본 연구는 전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업의지의 선행 변수을 규명하기 위해 구조모형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창업가정신을 독립변수로, 창업동기와 창업효능감을 매개변수로, 창업의지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진취성이 높을수록 창업동기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1은 기각되었다. 혁신성이 높을수록 창업동기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2는 채택되었다. 위험감수성이 높을수록 창업동기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3은 채택되었다. 진취성이 높을수록 창업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4는 채택되었다. 혁신성이 높을수록 창업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5는 채택되었다. 위험감수성이 높을수록 창업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6은 기각되었다. 진취성이 높을수록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7은 기각되었다. 혁신성이 높을수록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8은 채택되었다. 위험감수성이 높을수록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9는 기각되었다. 창업동기가 높을수록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가설 10은 채택되었다. 창업효능감이 높을수록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가설 11은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창업교육이나, 창업동아리활동, 창업경진대회 등의 활동경험이 없는 전국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는 점이 선행연구와의 차별점이다. 또한 대학생들의 창업가정신, 창업동기 및 창업효능감, 창업의지와의 구조관계를 실증 연구하였다는 것이 선행연구의 차별점이다. 실증연구 결과를 통해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제시하였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