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일원 망태봉(강원도 인제군)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of Mt. Mangtaebong (Inje-gun, Gangwon-do) in the DMZ area

  • 이아영 (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연구과) ;
  • 안종빈 (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연구과) ;
  • 김상준 (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연구과) ;
  • 황희숙 (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연구과) ;
  • 박진선 (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연구과) ;
  • 박기쁨 (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연구과) ;
  • 송진헌 (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연구과) ;
  • 윤호근 (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연구과) ;
  • 정지영 (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연구과) ;
  • 정수영 (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연구과) ;
  • 김일권 (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연구과) ;
  • 신현탁 (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연구과) ;
  • 이철호 (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연구과)
  • 발행 : 2019.04.25

초록

본 연구에서는 DMZ 일원인 강원도 인제군 망태봉(771.4m) 일대를 중심으로 2018년 4월부터 10월까지 총 8회에 걸쳐 식물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관속식물은 76과 187속 235종 2아종 28변종 4품종으로 총 269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분류군별로는 양치식물이 7과 21분류군, 나자식물이 1과 3분류군, 쌍자엽식물이 60과 208분류군, 단자엽식물이 8과 37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식물로는 특산식물이 할미밀망(Clematis trichotoma), 무늬족도리풀(Asarum versicolor), 병꽃나무(Weigela subsessilis),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처녀치마(Heloniopsis koreana) 등 6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위기종(Endangered, EN)인 구실바위취(Saxifraga octopetala)와 관심대상종(Least Concern, LC)인 도깨비부채(Rodgersia podophylla)로 총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기후변화취약종인 산림청 지정의 북방계식물은 회리바람꽃(Anemone reflexa), 피나물(Hylomecon vernalis), 돌단풍(Mukdenia rossii), 애기앉은부채(Symplocarpus nipponicus) 등 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은 생태계교란종인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미국쑥부쟁이(Aster pilosus) 3분류군을 포함하여 총 7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유용식물로는 용도가 뚜렷하지 않은 77분류군(28.6%)을 제외한 192분류군(71.4%)이 자원식물로서 이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을 용도에 따라 구분해보면 식용 107분류군(39.8%), 섬유용 3분류군(1.1%), 약용 80분류군(29.7%), 관상용 32분류군(11.9%), 사료용 87분류군(32.3%), 산업용 2분류군(0.7%), 염료용 3분류군(1.1%), 목재용 7분류군(2.6%)으로 조사되었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