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on of Moisture Content in Watermelon Seedlings Using Htperspectral Imagery

초분광 영상을 이용한 수박 묘의 수분함량 추정

  • Jun, Sae-Rom (Department of Bio-Systems Engineering,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Ryu, Chan-Seok (Department of Bio-Systems Engineering,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ang, Jeong-Gyun (Department of Bio-Systems Engineering,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ang, Ye-Seong (Department of Bio-Systems Engineering,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im, Seong-Heon (Department of Bio-Systems Engineering,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im, Won-Jun (Department of Bio-Systems Engineering,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Sarkar, Tapash Kumar (Department of Bio-Systems Engineering,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ang, Dong-Hyeon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gineering,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전새롬 (경상대학교 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유찬석 (경상대학교 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강정균 (경상대학교 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강예성 (경상대학교 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김성헌 (경상대학교 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김원준 (경상대학교 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타파스쿠마 사르카 (경상대학교 생물산업기계공학전공(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강동현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 Published : 2017.04.06

Abstract

본 연구는 초분광 영상을 이용하여 수박 모종의 수분함량을 비파괴적으로 추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단계적으로 수분 스트레스를 받은 수박(n=45) 모종을 초분광 영상시스템으로 촬영하여 모종 영역의 반사율을 추출하였고, 매 촬영 후 모종의 생체중과 건물중을 측정하여 수분함량을 계산하였다. 모종의 반사율과 계측된 수분함량을 변수로 하여 Partial Least Square Regression(PLSR) 분석을 이용하여 수분 추정 모델을 구축하였다. 수분 추정모델을 작성한 결과 Calibration(Cal.)의 정확도($R^2$)는 0.66, 정밀도(RMSE 및 RE)는 각각 1.06%, 1.14%로 나타났다. 수박 모종의 수분함량 추정모델의 정밀도는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나 정확도는 낮게 나타났다.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Confidence ellipses의 신뢰구간을 95%로 설정하였을 때 3개의 모종이 타원 밖에 위치하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제거 후 재분석을 하였다. 3개의 모종을 제외한 수박 모종의 수분함량 추정모델의 정확도는 0.82, 정밀도는 0.73%, 0.78%로 나타났다. 3개의 모종을 제외함으로서 모델의 정확도 및 정밀도가 상승하여 3개의 모종이 정확도 및 정밀도를 낮추는 원인이라 판단된다. 작물은 가뭄스트레스를 받을수록 반사율이 낮아지지만(Yang et al., 2010) 3개의 모종은 다른 모종의 수분함량에 비해 반사율이 큰 차이를 나타내어 정확도 및 정밀도를 낮춘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초분광 영상을 이용하여 수박 모종의 수분함량 추정가능성을 시사하였고, 모델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샘플 수 및 수분함량의 변이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