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분함량

Search Result 4,909,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냉동건조를 이용한 쌀기본 이유식 제조에 있어서 건조조건의 최적화

  • 김광옥;최호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214.1-214
    • /
    • 2003
  • 본 연구는 4~6개월의 유아들을 위하여 재수화시킨 후 숟가락으로 떠먹일 수 있도록 쌀을 기본으로 하고 당근, 쇠고기 및 계란을 각각 주재료로 한 냉동건조 이유식 제조의 최적조건을 결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당근, 쇠고기 및 계란이유식에서 모두 냉동건조시간은 수분함량이 높고 가열판 온도가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파쇄성은 수분함량이 감소하고 가열판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관능적 특성 중 수화속도, 균질성 및 매끄러운 정도는 수분함량이 증가하고 가열판 온도가 감소할수록 증가였고, 뜨기 쉬운 정도는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 가열판온도의 영향은 거의 받지 않았다. 또한 피막형성성은 수분함량과 가열판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이유식 제조치 최적조건은 당근이유식의 경우 수분함량 88.5%와 가열한 온도 34$^{\circ}C$로, 쇠고기이유식에서는 수된함량 88.5% 와 가열판온도 28$^{\circ}C$로, 그리고 계란이유식에서는 수분함량 87.5%와 가열판 온도 39$^{\circ}C$로 결정되었다.

  • PDF

물리.화학적 및 효소적 방법에 의한 참돔(Pagrus major)의 품질판정 지표 설정

  • 심길보;정호진;여해경;배진한;김태진;조영제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51-152
    • /
    • 2003
  • 물리ㆍ화학적 및 효소적 방법을 이용한 근육의 품질판정 지표로써 수분함량, 지질함량 그리고 콜라겐 함량등을 살펴보았으며, AEC 수치로써 건강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즉, 이런 지표들을 이용하여 양식산 활어의 품질에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는 파괴강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조사된 양식산 활어성분 중 파괴강도가 어떠한 독립변수들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으며, 파괴강도와 독립변수와의 관계식은 무엇인가를 규명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여기서 독립변수로 사용된 것은 아래와 같다. X$_1$ : 수분함량(moisture content) X$_2$ : 지질함량(lipid content) X$_3$ : 콜라겐 함량(collagen content) 각 성분간의 상관관계를 피어슨 상관계수로 나타낸 것으로, 파괴강도와 수분 함량, 지질함량사이에는 상관성이 있으나(r=0.66, r=-0.69: p<0.05), 콜라겐의 함량과는 상관성을 가지지 못하였다. 또한, 콜라겐과 수분함량(r=0.19), 콜라겐과 지질함량(r=-0.29)로 각 성분간의 상관성이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파괴 강도값은 지질과 수분함량간의 상관관계가 형성된다. 즉, 수분함량이 크고 지질함량이 작아지면 파괴강도간은 커진다는 결론이다. 이 결과를 이용하여 파괴감도, 수분함량 그리고 지질함량간의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다. Y = 0.74481 + 0.01323 X$_1$- 0.05821 X$_2$ 이 회귀식을 이용하여, 참돔의 수분함량과 지질함량을 측정함으로써 참돔의 품질을 결정할수 있는 파괴강도값이 계산으로 얻어진다. 또한 효소적방법으로써 품질지표인 AEC수치를 측정함으로써 건강도를 판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파괴강도값을 이용하여 품질의 등급을 선정하며, AEC수치를 건강도의 등급을 선정하여야 된다. 파괴강도값에 의한 등급은 1.4kg이상은 상급, 1.2~l.4kg은 중급, 1.2kg이하를 하급으로 선정하며, AEC수치는 1.0~0.9는 상급, 0.9~0.8는 중급, 0.8이하를 하급으로 선정하여 등급화를 분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Verification of Soil Volumetric Water Content Measured by TDR, FDR Sensors (TDR, FDR 센서로 측정한 토양수분 함량의 정확성 검정)

  • Hur, Seung-Oh;Jung, Kang-Ho;Park, Chan-Won;Ha, Sang-Keon;Kim, Jeon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29-235
    • /
    • 2007
  • 관개나 수분수지 규명을 위한 기본적인 자료는 토양수분 함량이다. 그러나, 포장상태에서의 토양수분 함량은 직접 측정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많은 경우 건조기를 이용한 중량수분 함량측정 방법을 이용하거나 토양수분 포텐셜 측정용인 텐시오미터를 이용한 토양수분의 에너지 특성을 관개에 활용하는 것이 현실이었다. 중량수분 함량은 시료를 채취해서 건조하기 때문에 시료채취 당시의 토양수분 함량을 아는 것이 어렵고, 토양수분 포텐셜은 에너지를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역시 토양의 수분함량을 얻는 것이 불가능 하다. 따라서, 최근에 이런 측정상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여러 나라에서 포장에서의 토양수분 함량을 직접 측정하는 다양한 센서를 개발하고 있고 있다. 그 중 몇 가지는 현재 우리나라에 공급되고 있는데, 가격 등의 문제로 별로 알려져 있지는 않다. 센서는 현장에서 수분함량을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관개에 직접 적용이 가능하며 자동화시설이나 수분수지 모형 산정에도 활용할 수 있다. 본 시험은 우리나라에 소개되어 있는 몇 가지의 토양수분 측정용 센서를 현장에서 코어를 이용해 측정한 용적수분 함량과 비교하여 센서의 정확도나 이용 가능성을 검정하고자 하였다. 코어를 이용해 실측한 토양 용적수분 함량과 비교하고자 7종의 센서를 선택해 실험에 이용하였다. 가격이 비싼 것으로 알려진 TDR 형태의 센서가 2종이었으며, 나머지 5종은 FDR 형태의 센서였다. TDR 센서는 Soilmoisture사에서 제작한 MiniTrase와 Imko 사의 Trime이고, FDR은 Sentek사에서 개발한 EasyAG, EnviroSCAN과 Delta-T사에서 제작한 PR-1과 WET-2 및 Decagon사에서 제작한 $ECH_2O$ 센서였다. 실헙방법은 본량사양토인 포장에서 건조한 상태인 시험구와 물이 포화된 시험구를 만들어 놓고, 그곳에서 센서 종류별로, 측정 깊이별로 토양의 용적수분 함량을 측정하고, 센서로 측정한 위치 바로 옆에서 코어를 이용해 토양시료를 채취하고 이를 건조기에 건조해 용적수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비교결과 TDR인 MiniTrase가 결정계수$(r^2)$가 0.964이고 표준오차(SE)가 0.01로 좋은 결과를 보여줬고 WET-2가 $r^2$와 SE가 0.932와 0.013이였으며 EasyAG는 0.877과 0.0211, EnviroSCAN은 0.803과 0.0259의 값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토양수분 함량 측정오차가 1% 미만인 센서가 정확한 수분함량 해석을 유도할 것이지만 위의 센서 중 MiniTrase를 비롯한 4개의 센서 정도가 토양의 수분 함량을 측정하는데 유용할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 PDF

Effects of Soil Moisture on Survival of Larger Black Chafer (Holotrichia morosa Waterhouse) Eggs and Larvae (토양 수분함량이 큰검정풍뎅이의 난 및 유충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 김기황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30 no.1
    • /
    • pp.37-41
    • /
    • 1991
  •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oil moisture on the survival of the larger black chafer(Holotrichia morosa Waterhouse) eggs and larvae. Survival rates of eggs and 1st, 2nd, and 3rd instar larvae were all above 79% at soil moisture of 15% and 25% in sandy loam and clay loam soil, but decreased considerably at 5% and 35%. At these extreme moistures there seem to be differences in survival rates of eggs and larvae between soil textures. Egg development was delayed as soil moisture approached to the lower limit for survival. Older eggs were tolerant to the high moisture stress(33-36 % , clay loam soil), and duration of the stress affected egg development. Feeding of 3rd instar larvae was obviously suppressed at the higher level of soil moisture.

  • PDF

Effect of Moisture Content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Fermentation Quality of Italian Ryegrass Haylage (수분함량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헤일리지의 화학적 조성 및 발효품질에 미치는 영향)

  • Park, Hyung Soo;Choi, Ki Choon;Kim, Ji Hye;So, Min Jeong;Kim, Won Ho;Srisesharam, Srigopalra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35 no.2
    • /
    • pp.131-136
    • /
    • 2015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moisture content on the haylage quality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Seven levels of moisture content (60%, 55%, 50%, 45%, 40%, 35%, and 30%) were tested in this experiment. The results show that the feed value, crude-protein content, neutral detergent fiber, acid detergent fiber, and in vitro dry-matter digestibil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s the moisture content decreased. The pH and lactic-acid content, however,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moisture content decreased, whereas the content of acetic and butyric acid increased significantly. We concluded that a moisture content within a range from 60% to 40% is best for Italian-ryegrass haylage.

The Effects of Screw Speeds and Moisture Contents on Soy Protein under Texturization Using a Single-screw Extruder (압출성형기의 스크류 회전속도와 원료수분함량이 대두단백질의 조직화에 미치는 영향)

  • Han, Ouk;Lee, Sang-Hyo;Lee, Hyun-Yu;Oh, Sang-Lyong;Lee, Cherl-Ho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1 no.6
    • /
    • pp.772-779
    • /
    • 1989
  • The effects of screw speeds and moisture content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exturized extrudate from isolated soy protein were examined by using a single-screw extruder. The screw speeds and moisture contents tested were in the range of 122-334 rpm and 20-35%, respectively, and die temperature were $90-145^{\circ}C$. The texturiz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nitrogen solubility index, integrity index, chewiness, density, rehydration ratio, and lightness after rehydration were appeared to be influenced by screw speed and moisture content. As the screw speed increased and moisture content decreased, die temperature, nitrogen solubility index, integrity index, lightness before and after rehydration were increased, while chewiness, density, water content of final extrudate wee decreased. The rehydration rate was changed drastically at the feed moisture content of 30% in particular. As the moisture content decreased, the air cell size became large and its number was increased. The effects of interaction between screw speed and moisture content of raw materials on the extrudate characteristics were tested by the analysis of variance.

  • PDF

Effect of Moisture Content on Viscosity of Starch Dough (전분반죽의 점도에 미치는 수분함량의 영향)

  • Lee, Boo-Yong;Lee, Chang-Ho;Lee, Cherl-Ho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7 no.4
    • /
    • pp.582-592
    • /
    • 1995
  • To measure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starch dough, an Extrusion Capillary Viscometer(ECV) cell was self-made and attached to Instron machine(Model 1140). Apparent viscosities of corn and waxy corn starch doughs were measured and their gelatinization degrees were determined by enzymatic analysis. When corn and waxy corn starch doughs with $36{\sim}52%$ moisture content were heated at $60{\sim}100^{\circ}C$, come-up time of the cold point of doughs decreased from 220 sec to 140 sec with increased in the moisture content. In the measurement range of $36{\sim}52%$ moisture content and $60{\sim}100^{\circ}C$ heating temperature, both corn and waxy corn starch doughs showed pseudoplastic flow behaviors. At the same shear rate, both shear stress and viscosity of starch dough decreased as the moisture content increased. At the moisture content above 44%, the shear stress and viscosity of starch dough decreased as the heating temperature increased from $60^{\circ}C\;to\;70^{\circ}C$, but increased as the heating temperature increased from $80^{\circ}C\;to\;100^{\circ}C$. When the moisture content increased and heating temperature, the gelatinization degree of starch dough increased from about 10% to about 62%. The gelatinization degree of waxy corn starch dough was $15{\sim}20%$ higher than that of corn starch dough under the same gelatinization conditions. The effects of moisture content on the viscosity of starch dough were examined by Arrhenius equation. As the moisture content increased, viscosity of starch dough decreased. But the effect of moisture content was greater in the range of $80{\sim}100^{\circ}C$ than in the range of $60{\sim}70^{\circ}C$ heating temperature.

  • PDF

Moisture Contents Setting according to Growth Stages of when the Cultivation of Gastrodia elata in Indoor Facilities (천마 실내시설재배 시 생육단계별 수분함량 설정)

  • Kim, Chang Su;Kim, Hyo Jin;Seo, Sang Young;Ahn, Min Sil;Kim, Hee Jun;Lee, Wang Hyu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10a
    • /
    • pp.77-77
    • /
    • 2018
  • 천마(Gastrodia elata)는 연중생산을 위해 실내시설 재배 시 생육모델을 구죽하고, 생육단계에 따른 온도, 수분, $CO_2$ 등 환경 조건 설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천마의 생육단계 중 괴경형성기와 괴경비대기의 수분함량을 설정하여 최적의 환경조건을 찾기 위해 수행하였다. 먼저 괴경형성기 수분함량 공급은 괴경형성기에 -20kPa, -30kPa, -40kPa로 처리하여 120일간 배양한 뒤, 괴경비대기를 -40kPa로 고정하여 60일간 배양하였다. 반면, 괴경비대기 수분함량 공급은 괴경형성기를 -30kPa로 고정하여 120일간 배양한 뒤 괴경비대기에 -20kPa, -30kPa, -40kPa, -50kPa로 처리하여 60일간 배양하였다. Tensiometer(토양수분장력계)기를 설치하여 수분을 공급하였고, FDR센서 (UbiMas, CoCo sensor,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type)를 배양토의 깊이 5 cm와 15 cm에 2개를 설치하여 평균값으로 수분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전체수량, 성마율, 종마율 등을 조사하였다. FDR센서로 수분함량을 측정한 결과, -20 kPa은 43.3%, -30 kPa은 34.7%, -40 kPa은 29.8%, -50 kPa은 25.3%로 측정되었다. 괴경형성기 수분함량 처리 후 수확기의 상자 당 전체수량은 -30 kPa일 때 985 g으로 가장 많았고, -40 kPa일 때 912 g, -20 kPa일 때 703 g으로 처리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성마율은 수분함량처리별 각각 25, 34, 30% 이었고, 종마율은 수분함량처리별 각각 53, 73, 65%로 나타났다. 따라서 -30 kPa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전체수량, 성마율, 종마율 등이 유의적으로 우수하였다. 괴경비대기 수분 함량 처리 후 수확기의 상자 당 전체수량은 -40 kPa일 때 992 g으로 가장 많았고, -50 kPa일 때 955 g, -30 kPa일 때 903 g, -20 kPa일 때 686 g 순으로 나타났다. -30 kPa에서 -50 kPa 사이에서는 전체 수량의 유의성 차이는 없었다. 성마율은 수분함량처리별 각각 20, 30, 35, 33%이었고, 종마율은 수분함량처리별 각각 45, 65, 75, 68%로 나타났다. 따라서 -40 kPa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전체수량, 성마율, 종마율 등이 유의적으로 우수하였다. 반면 -20 kPa 처리구는 과도한 수분으로 천마가 오히려 부패될 수 있는 환경조건이 조성됨에 따라 성마율, 종마율 등 전체적인 수량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Comparison of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with Enzymat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Gelatinization Degree of Corn Starch (DSC에 의한 전분의 Endothermic peak와 효소분석법에 의한 호화도 비교)

  • Lee, Boo-Yong;Mok, Chul-Kyoon;Lee, Cherl-Ho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5 no.4
    • /
    • pp.400-403
    • /
    • 1993
  • Gelatinization degrees of torn and waxy corn starches in the low-moisture environment were determined by DSC thermogram and enzymatic analysis, the results were compared each other As the moisture content increased from 20% to 70%, the enthalpy of endothermic peak of starch increased linearly in DSC thermograms. When the moisture content exceeded above 70%, the DSC enthalpy of starch remained constant in DSC thermogram. The enthalpies for gelatinization of corn and waxy corn starches were 3.23 cal/g and 4.2 cal/g, respectively. When gelatinization degrees of starches were measured by enzymatic analysis, the gelatinization degree increased linearly as the moisture content increased from 20% to 80%. A linear correlation between DSC and enzymatic analysis was obtained only when the moisture content was under 70%.

  • PDF

Effects of Die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Extruded Rice with Mealworm (사출구 온도와 수분함량이 갈색거저리(Mealworm) 첨가 압출성형 백미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 Cho, Sung Young;Chatpaisarn, Apapan;Ryu, Gi Hyung
    • Food Engineering Progress
    • /
    • v.21 no.2
    • /
    • pp.116-125
    • /
    • 2017
  • This study aims to make extruded rice snack with high quality in texture and nutrition by adding mealworm. Addition of the mealworm has the merit to fill in high-quality protein and unsaturated fatty acids which are insufficient in rice. Thus,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process of extrusion cooking. As the extrusion process varied, the die temperatures were set to $120^{\circ}C$ and $130^{\circ}C$. Also, the moisture contents were adjusted to 30% and 35%. The specific length, the expansion ratio, and the water absorption index increased as the added content of mealworm became higher. On the contrary, the density, the breaking strength, the apparent elastic modulus, and the water solubility index decreased. As mealworm and moisture content increas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but the rancidity decreased. As a result, the addition of mealworm to the extruded rice snack was effective in improving texture, nutrition, and antioxi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