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Growth Plate regression analysis using Tanner-Whitehouse 3 in hand AP of pediatrics

소아의 디지털 Hand 영상에서 TW3를 이용한 성장판의 회귀분석

  • Lee, DongSeong (Dept of Radiological Science, College of Health Science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
  • Jo, GuangSub (Dept of Radiological Science, College of Health Science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
  • Lim, HanSub (Dept of Radiological Science, College of Health Science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
  • Jeong, SeonKyoung (Dept of Radiological Science, College of Health Science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
  • Jang, HwaYoung (Dept of Radiological Science, College of Health Science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
  • Kim, SuHyun (Dept of Radiological Science, College of Health Science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
  • Kang, SeSik (Dept of Radiological Science, College of Health Science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
  • Kim, ChangSoo (Dept of Radiological Science, College of Health Science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 이동성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 조광섭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 임한섭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 정선경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 장화영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 김수현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 강세식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 김창수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Published : 2015.05.26

Abstract

They evaluate the bone age using the GP-BP (Greulich-Pyle and Bayley-Pinneau) and TW3 (Tanner-Whitehouse 3) in clinical. The skeletal maturity in Hand AP is evaluated by clinical experience of physicians and this is qualitative evaluation not same in every physicians. In order to devise and evaluate new methods not using TW3 method in this situ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70 (Male 35, Female 35) children who visited Yangsan P Hospital from March 2014 to March 2015. The study measured the length of growth plate and distal proximal phalanx and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of bone age length difference. The study found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corresponding to certain ranges each bone age. The more bone age increase, the more the length of growth plate and distal proximal phalanx decreased. The girls have less average rather than the boys because bone grows fast. The girls have first period age of 12 to 14, it appears length variation significantly. The study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and this has statistical significance.

임상에서는 GP-BP (Greulich-Pyle and Bayley-Pinneau) 법과 TW3 (Tanner-Whitehouse 3) 법을 사용하여 골연령을 평가하고 있다. Hand AP 영상에서 골성숙도 평가는 전문의의 임상적 경험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는 정성적 평가로 모든 전문의마다 동일하게 적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 속에서 TW3 방법이 아닌 새로운 방법을 고안 및 평가하기 위해 2014년 3월부터 2015년 3월까지 양산P병원에서 성장판 검사를 시행한 소아 70명(남 35명, 여 35명)을 대상으로 TW3에서 골성숙 가중치가 가장 높은 7부위를 선정하여 성장판과 골말단 부위의 길이를 측정하여 골연령별 길이의 차이를 측정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골연령 마다 특정범위에 상응하는 평균과 표준편차 값이 나타났으며, 골연령이 증가할수록 성장판과 뼈 말단부 길이가 규칙성 있게 감소하였다. 여아의 경우 남아에 비해 골성장이 빠르므로, 남아보다 길이 평균값이 전체적으로 작은 값을 가졌다. 이는 12~14세 초경이 나타남에 따라 초경 전후 길이 감소 변화가 크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그 결과 값으로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도출된 값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