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y for Test of Practical Competency in ICT

정보통신 실무역량 평가에 대한 사례연구

  • Shim, Jang-sup (IITP (Institute for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Promotion)) ;
  • Jeong, Jea-hun (IITP (Institute for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Promotion)) ;
  • Ihm, Seung-ho (IITP (Institute for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Promotion))
  • Published : 2015.05.26

Abstract

This paper describes a one of HRD Program focus on ICT technology called TOPCIT as that companies and higher education providers voiced the need for a standardized, objective competency index that can reinforce the on-site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ICT/SW. And reduce the gap between the viewpoints of industrial and academic circles regarding the qualifications of a competent specialist in ICT field. For this reason, T.OPCIT developed and evaluated a performance-evaluation-centered test designed to diagnose and assess the competency of ICT specialists and SW developers critically needed to perform jobs on the professional frontier. This TOPCIT concept has been promoted not just in KOREA but in many ASEAN countries, e.g Thailand, Nepal, Bhutan, Philippines, Mongolia and Cambodia during the ICTD-USO Forum organised by ITU-ASP.

정보통신(ICT)산업의 빠른 진화 속도에 따라, ICT 산업을 뒷받침할 인력양성(HRD)의 필요성이 꾸준히 대두 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유엔 전자정부발전지수 연속1위, ITU의 ICT개발지수 2위등 우수한 공공인프라를 유지하고 있고, 학계에서는 ICT전공자를 꾸준히 배출함에도 불구하고, 해당 산업계에서의 만족도는 많은 차이(Gap)가 있어서 산업계 스스로 재교육이나 이에 따른 사회적 비용이 부가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상은 다른 나라에서도 동일한 사회적 현상이다. 이에, ICT산업 종사자 및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비즈니스를 이해하고, 요구사항에 따른 과제를 해결하여 산업계 진입 후, 특정 직무나 직위에 상관없이 비즈니스 요구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고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기본적인 핵심적 지식, 스킬, 태도의 종합적인 능력수준을 진단하고 평가하는 제도와 도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IT공통역량 강화를 도모하는 교수-학습-실무현장을 위한 제도, 개념 및 구조, 정책과 영향에 따라 개발된 제도적 시스템을 소개하고 결과를 평가한다. 이 시스템은 ITU-ASP 주관 ICTD-USO포럼 기간 중 초청 소개 되었고, 주요 ASEAN국가들의 관심과 지원요청을 받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