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ording to musical narrative development in crime movie

범죄영화 속 음악적 전개에 따른 내러티브 - 음악감독 미클로스 로자(Miklos Rozsa)의 "이중배상(Double indemnity)"과 "더 킬러스(The Killers)"를 중심으로 -

  • 최유미 (상명대학교 인터미디어랩) ;
  • 이승연 (상명대학교 인터미디어랩)
  • Published : 2014.11.21

Abstract

This paper is the music director Miklos Rozsa participated crime To infer the narrative around two classic movie The study of musical functions. Two films are Double indemnity, 1946 and The Killers, 1948. The main theme was used in the movie Keywords that appear only after analyzing crime scenes film Possible inference of narrative musical expression around the room Examine the law. In the case of a crime movie theme music Indicate the start and development progress, planned steps and proceed only Through the proactive behavior of the system behavior and the final results after the acts To commit a criminal act represents lesson. Music maneu Can be inferred by the narrative of the crime and the crime film To progress in the music scene, and combine with effects The maximum tension over.

본 논문은 음악감독 미클로스 로자가 참여한 범죄영화 두 편을 중심으로 내러티브를 유추할 수 있는 음악적 기능을 연구한다. 두 편의 영화는 "이중배상(Double indemnity, 1946)"과 "더 킬러스(The Killers, 1948)"이다. 영화에 사용 된 주요테마와 장면을 분석 후 범죄영화에만 나타나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내러티브의 유추가능한 음악적 표현 방법을 조사한다. 테마음악은 범죄영화에서 사건의 시작을 알리는 진행 및 전개, 계획단계와 진행 단계의 선행적 행동과 후행적 행동을 거쳐 최종 결과인 범죄를 저지르는 행동을 표현한다. 음악만으로 범죄영화의 내러티브를 유추할 수 있고 범죄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음악적 효과가 장면과 결합하여 긴장감을 극대화시킨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