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기질 및 어린이집 적응에 따른 교사의 직무만족이 교사-영아 관계에 미치는 직.간접효과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 teacher on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ccording to child temperament and adatation to child-care institutions

  • 최항준 (배재대학교 유아교육과) ;
  • 문현경 (배재대학교 유아교육과) ;
  • 김선아 (배재대학교 유아교육과)
  • 발행 : 2012.05.25

초록

본 연구는 D시와 G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13기관에 재원 중인 영아 238명과 해당 영아의 어머니와 아버지 각 238명, 담임교사 45명(총 45학급)을 대상으로 영아의 기질과 어린이집 적응 변인이 교사의 직무만족과 교사-영아 관계에 어떠한 직 간접적인 영향력을 갖는지를 알아보고자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영아의 기질이 교사의 직무만족에 의해 매개되어 교사-영아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또한 직무만족에 의해 매개되어 교사-영아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사의 직무만족은 교사-영아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영아의 기질과 어린이집 적응, 두 잠재 변인 간의 매개 변인이다. 특히 영아의 기질은 교사의 직무만족과 교사-영아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영아-교사관계에는 기질이나 적응이 미치는 직접효과가 직무만족을 매개로한 간접효과보다 크게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영아와 교사관계에 있어서 영아의 기질변인이 중요함을 드러내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다양한 변인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서 영아 연구 범위의 폭을 확장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