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f Local Area Weather Condition Monitoring System in WSN

WSN기반의 국지적 기상모니터링 시스템 고찰

  • Chung, Wan-Young (Division of Electronic, Computer and Telecommunicatio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Jung, Sang-Joong (Department Electronic Engineering, Graduate School,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Jong-Jin (Division of Electronic, Computer and Telecommunicatio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won, Tae-Ha (Division of Electronic, Computer and Telecommunicatio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정완영 (부경대학교 전자컴퓨터정보통신공학부 전자정보통신공학전공) ;
  • 정상중 (부경대학교 대학원 전자공학과) ;
  • 김종진 (부경대학교 전자컴퓨터정보통신공학부 전자정보통신공학전공) ;
  • 권태하 (부경대학교 전자컴퓨터정보통신공학부 전자정보통신공학전공)
  • Published : 2009.05.29

Abstract

An local area weather condition monitoring system to minimize many disasters from the sudden change of weather condition in local and mountain area is proposed. Firstly, the comparison of present state of the related monitoring systems and the possibility of realization with some merits are investigated. Moreover, this paper present direction of local area weather condition monitoring system based on integration of wireless sensor network and CDMA network following some case study. Through the efficient integration of both networks, the measured weather condition data from sensors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or mobile to monitor with high reliability. The proposed monitoring system will guide new type of project in wireless sensor network and support alarm service of the sudden change of weather condition to mobile user from central official regulations.

본 논문은 산악지역이나 지역적으로 급작한 기후 변화를 일으키는 곳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통하여 재난피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국지적 기상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우선 우리나라의 재해재난 관련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연구 현황을 수집 및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국지 기상모니터링 시스템의 실현가능성과 장점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외국의 사례들을 참조하여 무선센서네트워크와 CDMA망의 통합을 바탕으로 한 효율적인 국지 기상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축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시스템을 위해 필요한 각종 센서와 센서노드의 형태, 100~500m 정도의 가까운 거리 마다 설치될 센서노드의 형태와 센서인터페이스, 전력공급장치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의 모니터링 시스템 관련 연구과제의 도출과 통합된 정보가 기상관측소, 방송국, 지역 재난경보시스템과 연결되어서 급작스런 기후변화나 또는 홍수 등의 위험 경보를 그 지역에 있는 관광객 또는 거주자에게 휴대폰 또는 방송으로 알려주는 서비스를 통해 많은 연구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