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New Approach of Modal Split Model Based on The Trip length (Gyeongbu High-Speed Railway)

통행거리에 따른 합리적인 통행수단선택 모형 구축방안 연구 (경부고속철도 대상)

  • 조항웅 (서울산업대학교 철도경영정책학과, (주)대신기술단) ;
  • 이승용 (서울산업대학교 철도경영정책학과, 철도인재개발원 국제철도연수센타) ;
  • 김강섭 (서울산업대학교 철도경영정책학과)
  • Published : 2009.05.21

Abstract

The Korea high speed train was launched from Seoul to Busan of 1st construction phase at 1st April, 2004. This huge project will be lead to a great change in korean society such as existing mode choice behavior change and the concentrating on KTX station zone lifestyle pattern's change. With the result to opening high speed train railway was diminished train journey time between Seoul to Busan from 4 hours 10 minute to 2 hours 40 minutes, and has been change population movement, favorite location of corporation headquarters, existing metropolitan transportation pattern and so on. In the middle of this study, I choose to analyse Seoul-Cheonan/Asan stations, Seoul-Deajeon stations, Seoul-Deagu stations, Seoul-Pusan stations. This study have a information to analyse among as like movement of population, status of employee structure, usage of land, movement inland transportation mode. I sure that this study will lead to helpful prediction both 2nd phase of Kyoung-bu high-speed railway and Ho-nam high-speed railway in advance.

본 연구의 2004년 4월 서울 $\sim$ 부산의 고속철도 1단계 개통으로 기존 육상교통수단의 변화와 역세권 중심으로 생활권의 패턴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고속철도 개통으로 서울 $\sim$ 부산구간 통행시간이 4시간 10분에서 2시간 40분으로 단축되어, 이로 인한 인구의 이동, 기업이 입지, 공간구조의 개편 등 수단선택의 행태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 $\sim$ 천안/아산, 서울 $\sim$ 대전, 서울 $\sim$ 대구, 서울 $\sim$ 부산을 대상으로 고속철도 개통 후 발생하는 수단선택의 형태변화을 조사하여 이로부터 향후 수단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1 단계의 고속철도 개통으로 인한 대상지역의 수단선택의 행태변화를 분석하여 향후 정부고속철도 2단계, 호남고속철도 개통으로 인한 거리별, 지역별, 수단별 형태의 변화 분석을 통해 정확한 수단변화를 통하여 도시공간구조개편, 광역교통체계의 계획시 좀 더 정확한 분석을 수행 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