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n the railway vehicle system for the introduction of new transit systems

신교통시스템 도입을 위한 차량시스템에 관한 고찰

  • Published : 2009.05.21

Abstract

As the increased importance is placed on the new transit systems owing to the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the road traffic congestion, the policy for the introduction of the new transit systems as an alternative solution to ease the heavy burden of the construction expenses is being actively established. Since the explicit recognition of such transit systems and the review on the method of its adoption have been a pressing matter in the light of reducing the pending traffic congestion, the development of the rolling stock systems in modes of new transportation has been made in various way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regional circumstances to alleviate traffic congestion, and offer a more efficient service with the application of their intrinsic characteristics. Such systems also have been developed as a mix of punctuality for railway systems operating on the runway and flexibility for buses. This paper, therefore, deals in more detail with 3 modes of systems such as low-floor articulated buses, GRT(Guided Rapid Transit) and tram cars, and studies the overseas cases of the operation of those systems involving both negative and positive aspects.

최근 국내에서도 대도시의 도로 교통 혼잡과 그로 인한 환경오염으로 인해 신교통시스템의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는 가운데 기존 지하철의 과중한 건설비 및 운영비 부담을 대체할 수단으로서 신교통시스템의 도입에 대해 적극적인 정책을 수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의 도시교통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미래 도시교통의 모습을 새롭게 만든다는 의미에서 신교통시스 템에 대한 분명한 인식과 도입방안에 대한 검토가 시급한 시점으로, 신교통 차량시스템은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 및 교통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전용 주행로를 갖는 철도시스템의 장점인 정시성 및 안전성과 버스의 장점인 유연성을 만족시킬수 있는 시스템으로 개발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신교통시스템 도입시 차량시스템 선정시 고려사항 및 기존노면 교통수단과 공용으로 주행로를 사용할 수 있는 차량시스템으로 저상굴절버스, 노면전차, GRT(Guided Rapid Transit, 유도 고속차량) 시스템의 해외운행 사례 및 시스템을 비교, 장단점을 중심으로 고찰 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