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te Factors and Performance of Corporate R&D Outsourcing

기업의 연구개발 아웃소싱의 결정요인과 성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 Published : 2009.10.24

Abstract

This research focuses on what factors determine firm's decisions on R&D outsourcing and how R&D outsourcing affect R&D performance. In recent years many firms outsource R&D activities instead of internalizing it. Thus, further investigation is necessary to find out this recent trend. Based on several theoretical background the study developed three determining factors of R&D outsourcing which are transactional level, firm level, and risk level. Transactional level composes of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R&D cost saving, asset specificity and uncertainty which mainly comes from Transaction Cost Economics theory. Firm level composes of openness to technology from outer source, R&D capability, and outsourcing experience. Risk level composes of technological risk, cost-related risk and managerial risk. The result shows that R&D outsourcing is significantly related to cost saving aspect, low asset specific firms, firms without solid technological background, firms which are open to external technology, firms with other types of outsourcing experience, and firms which take technological risks. However, proposed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R&D outsourcing and R&D performance found out to be insignificant. This research is contribute to the field of outsourcing study since it will give guidance to managers who need to make strategic decisions on R&D outsourcing activities.

본 연구는 기업이 연구개발 (R&D) 활동에 있어서 외부 업체에게 아웃소싱을 하는 경우에 연구개발 아웃소싱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R&D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R&D 아웃소싱의 결정요인을 크게 거래특성요인, 조직특성요인, 의존위험요인으로 나누었다. 거래특성요인은 거래비용이론에 근거하여 R&D 비용절감, 자산의 특수성, 불확실성을 변수로 두었고 조직특성요인은 자원준거이론에 의하여 외부기술에 대한 개방성, 기술개발 역량, 아웃소싱 경험으로 보았고 의존위험요인은 자원의존이론을 기반으로 기술적 위험, 비용증가위험, 관리적 위험으로 분류하였다. 추가적으로 R&D 아웃소싱이 실제로 기업의 R&D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R&D 아웃소싱의 정도가 높은 기업은 R&D 비용을 절감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기업, 자산의 특수성이 약한 기업, 외부 자원에 대한 개방성이 있는 기업, 기술역량이 부족한 기업, 아웃소싱 경험이 있는 기업, 기술적 위험을 회피하지 않는 기업으로 결과가 나왔다. R&D 아웃소싱 정도가 기업의 R&D 성과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한 가설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서 기업들이 진행하고 있는 R&D 아웃소싱의 실태를 파악하고 기업의 R&D 업무 담당자로 하여금 효과적인 R&D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지침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