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concrete intensity using high early strength AE water reducing agent

조강형 AE감수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강도발현 특성

  • Published : 2008.04.24

Abstract

Recently early strength concrete has been required for economical assurance and the prevention of frost damage in winter through air reduction in construction of concrete structures. This study presented the optimum condition revealing compressive strength 5MPa which has the possibility of removal of form in 24 hours, and researched the changes of unit weight of cement types of high early strength AE water reducing agents, characteristic of compressive strength expression as cure temperature conditions and slump or airspace. Test results showed at $15^{\circ}C$ with compressive strength of 5MPa that premature removal of form was possible in case of using highly early strength PC water reducing agent with unit weight of cement 360 ; 22hours faster than 10, unit weight 360 ; 20hours faster than 7, unit weight 390 ; 18 hours faster than 4 comparing with OP water reducing agent. And at $5^{\circ}C$ in case of using highly early strength PC water reducing agent with unit weight of cement 330 ; 32hours faster than 10, unit weight 360 ; 30hours faster than 7, unit weight390 ; 27hours faster than 4 comparing with OP water reducing agent. Therefore as the temperature rises $10^{\circ}C$, compressive strength of 5MPa reaching hour shortens 10 hours.

최근 콘크리트 구조물 공사에서는 공기단축을 통한 경제성 확보와 동절기 초기동해방지를 위하여 콘크리트의 조기강도 발현을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강형 AE감수제의 종류별 단위시멘트량과 양생온도 조건에 따른 압축강도발현 특성, 공기량 및 슬럼프 등의 경시변화를 검토하여 재령 24시간에 거푸집 조기 제거가 가능한 압축강도 5MPa을 발현시킬 수 있는 최적 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온도 $15^{\circ}C$에서 거푸집조기 제거가 가능한 압축강도 5MPa 발현 시간은 조강형 나프탈렌계 감수제를 사용한 경우 단위시멘트량 $330kg/m^3$에서 표준형 감수제에 비하여 10시간 빠른 22시간, $360kg/m^3$에서는 7시간 빠른 20시간, $390kg/m^3$에서는 4시간 빠른 18시간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도 $5^{\circ}C$에서는 조강형 나프탈렌계 감수제를 사용한 경우 단위시멘트량 $330kg/m^3$에서 표준형 감수제에 비하여 10시간 빠른 32시간, $360kg/m^3$에서는 7시간 빠른 30시간, $390kg/m^3$에서는 4시간 빠른 27시간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양생온도가 $10^{\circ}C$ 높아짐에 따라 압축강도 5MPa 도달시간은 10시간이 단축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