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tate of the art on the construction and the new technology of the underground structure(underpass, underground passageways)

지하구조물(지하차도, 지하통로)건설 현황 및 관련 신기술 개발동향 연구

  • Published : 2008.11.07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how to design, where to construct, why to degrade, what plan to use systematically the underground structures such as underpass, underground passageways. About 50% of the underground structures are located on Seoul, Kyungi-Do. In design of the underground structures such as underpass, underground passageways, the required conditions are defined. And also in construction stage, the conditions of soil, required structure depth, site characteristics, reasonable construction method, are investigated. In the selection of details for underground structure, the items mainly considered, are the wall and column type, the sidewalk type, anchoring-system type, the water-proofing method, entranc shape. The reason and the adequate measures for the degradation of concrete structure are also investigated. The initial cracking properties due to the thermal characteristic are considered. The state of the art report on the new technologies are reviewed. The recent project for the systematically application to the underground structures is reviewed.

최근 지하공간개발이 활발해지면서 이의 체계적인 활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지하공간 중 지하차도 및 지하통로를 대상으로 하여 국내건설 및 유지관리현황, 지하차도 및 지하통로 설계기준, 설계 검토내용 및 시공절차, 대상 지하구조물의 주요하자 원인 및 보수보강 방법, 이와 관련한 국내 신기술 신공법 현황, 그리고 장래 계획 등에 대해 조사 연구하였다. 현재 64${\sim}$94%는 건설된 지 10년이 지난 상태이며 전체의 50%가 서울, 경기도 및 수도권 일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특정 관리대상 시설로 분류하여 안전점검 및 관리가 시행되고 있다. 설계 시에는 차도부, 보도부, 차로폭등으로 구분하여 시설한계기준을 적용하고 있으며 건설공법은 지반상태, 구조물심도, 지형조건 등을 감안하여 개착식과 터널식을 구분 적용하고 있다. 구조물 공법 선정 시에는 설치공법, 내부 중간(벽, 기둥)구조, 보도설치여부,부력방지공 설치여부, 방수공법, 내장 마감재, 갱구부형식 등을 감안하여 정하고 있다. 주요 하자원인분석 시 구조적 원인과 비구조적 원인으로 분류하여 균열, 박리, 탈락 및 백태 등에 의한 하자원인 및 대책을 검토하였고 수화열에 의한 균열발생 기준도 추가하였다. 지하차도 및 지하통로 관련 신기술 신공법은 2007년 말까지 등록된 것을 주로 조사 분석하였다. 대부분 지하철이나 통신과로등 다른 지하구조물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들로 관련 요소핵심기술을 활발히 개발 중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하차도및 지하통로 관련 지하구조물의 장래계획은 지역마다 자치구마다 다르지만 시 전체에 지하도로 건설을목표로 지하구조물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서울시를 위주로 장래관련 계획을 자료조사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