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ying Shrinkage of Ultra High Strength Steel-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초고강도 강섬유 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자기수축 모델식에 관한 연구

  • 강수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구조재료연구실) ;
  • 박종섭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구조시스템연구실) ;
  • 조창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구조시스템연구실) ;
  • 박정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구조재료연구실) ;
  • 고경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구조재료연구실) ;
  • 김병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구조시스템연구실)
  • Published : 2008.11.07

Abstract

Most of shrinkage is mainly caused by autogenous shrinkage in Ultra high strength steel-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UHSFRC). water to binder ratio is very low, about 0.2. It occurs faster hydration and cause a large amount of autogenous shrinkage in early ages. the large autogenous shrinkage can cause harmful cracks in a structure and deteriorate the designed structural performanc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predict the autogenous shrinkage accurately. The study about the autogenous shrinkage of UHSFRC was carried out in this paper. through comparing with JSCE recommendations for UHSFRC, it was found out that UHSFRC in this study showed higher autogenous shrinkage than that of JSCE. And Applicability of early proposed models by some researchers was also investigated. the analytical results let us know that Miyazawa's model showed the best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ly obtained autogenous shrinkage of UHSFRC.

UHSFRC의 수축은 대부분 자기수축에 의해 발생한다. UHSFRC는 물결합재비가 0.2정도로 매우 작고, 단위 결합재량이 상당히 많고 초기 수화진행 속도가 매우 빨리 진행되어 자기수축(autogenous shrinkage)이 매우 크게 발생한다. 초기재령에 자기수축이 크게 발생할 경우, 구조물의 변형 또는 균열이 발생하여 본래의 성능을 발휘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자기수축을 고려한 설계가 이루어져야하며 따라서 자기수축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UHSFRC의 자기수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JSCE 설계 시공지침(안)에서 제시하고 있는 UHSFRC의 연구결과와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JSCE의 UHSFRC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자기수축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기존의 자기수축 모델을 이용하여 UHSFRC에 대한 적합성 여부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Miyazawa의 모델식이 가장 잘 재령에 따른 자기수축을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