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f the character and condition of Cr in the korea cement

국내 시멘트 중의 크로뮴 성상에 관한 연구

  • 민경산 (군산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 이승헌 (군산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 이세진 (군산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 이승훈 (삼성건설기술연구소 기반기술연구팀) ;
  • 문세흠 (삼성건설기술연구소 기반기술연구팀) ;
  • 정재홍 (삼성건설기술연구소 기반기술연구팀)
  • Published : 2008.11.07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 and condition of Cr in the clinker and thereby contribute to the research for reduction in utilizing Cr in the cement manufacturing process. The concentration of chromium by cement particle size and the distribution of chromium by clinker mineral were measured. Next, correlation was considered between chromium and the soluble components in cement. As a result, in the range that cement particles were 20${\mu}$m or less, highest soluble hexavalent chromium was found. When the concentration of chromium was measured through mineral separation, belite and the interstitial phase were higher in chromium than in alite. soluble hexavalent chromium was contained in domestic cement less than 20ppm, and its conversion ratio was somewhat high as 10 to 40% or so.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시멘트내 크로뮴의 존재 상태를 파악하여 시멘트 내 수용성 6가 크로뮴의 저감 방안연구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실험으로써, 시멘트내의 크로뮴의 상태파악을 위하여 입자 크기별 함유량과 광물별 크로뮴의 분포를 알아보았고, 시멘트중의 크로뮴과 가용성 성분을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 시멘트중의 크로뮴 현황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시멘트 입도별 수용성 6가 크로뮴은 분말도가 높은 20${\mu}$m이하에서 가장 높은 함유량을 나타냈고, 국내 클링커를 광물 분리하여 크로뮴을 측정 시, belite와 간극상에서 alite에 비하여 매우 높은 크로뮴의 고용량이 측정되었다. 최근 10개월간 측정한 국내 시멘트의 총 크로뮴의 양과 수용성 6가 크로뮴을 측정한 결과 초기에 비하여 기간이 지남에 따라 수용성 6가 크로뮴의 양이 전체적으로 감소하면서 안정적인 농도값을 나타내었고, 현재 가이드라인 설정치인 30ppm이하를 만족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20ppm 이하로 나타났다. 국내 시멘트는 외국의 다른 자료들과 비교 시 총 크로뮴의 양은 적은 반면에 전환율이 높아 비교적 높은 수용성 6가 크로뮴 함유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환율은 10-40% 정도로 큰 범위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