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y on the Void Characteristics of Concrete Bridge Decks on the Expressway

공용중인 교량 바닥판의 내구성에 공극특성이 미치는 영향

  • 서진원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구조지반연구팀) ;
  • 이지영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구조지반연구팀) ;
  • 김홍삼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도로연구팀) ;
  • 이병주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구조지반연구팀) ;
  • 신도철 (한국건설품질시험원, 건재연구팀)
  • Published : 2008.11.07

Abstract

Concrete bridge decks, as well as asphalt pavement, are directly exposed to traffic load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like rain water and deiceing chemicals. In this reason, there are often observed the deteriorations of asphalt overlay and of concrete deck under pavement. In this reason,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clear cause of concrete quality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Therefore, in this paper it was initiated to ultimately suggest a protocol offering guidance as to assurance the quality control of concrete bridge deck on the part of void characteristics of concrete. Examinations such as visual inspection, deteriorated depth, and various void characteristic performed from cored specimens of 19 concrete bridge decks of various local conditions on the expressway. This paper discuss that the bridge deck condition analyses from the testing results were compared to a foreign guide line.

교량 바닥판은 공용기간 동안 차량하중 및 외부 열화환경(동결융해, 우수, 융빙제)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어 교량의 주요 부재 중 가장 많은 결함이 발생되는 부위이다. 따라서, 콘크리트 교량 바닥판의 열화원인을 분석하고 향후 손상방지 및 품질향상 대책을 수립하고자, 고속도로 상에 공용 중인 교량 바닥판 중 19개소에 대해 콘크리트 코어를 채취하고, 콘크리트에 대한 공극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손상이 발생된 교량 바닥판의 경우, 공기량이 기준치에 미달하거나, 기준치를 만족하는 경우에도 기포간격계수가 외국의 기준에 미치지 못하여 내구성이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