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hear Fatigue Performance of Elastomeric Bearings of a Doublefold Elastomeric Layer

고무의 겹침제작 여부에 따른 탄성받침의 전단피로특성 연구

  • Published : 2008.11.07

Abstract

Bridge bearings are devices absorbing the displacements of the superstructure. Elastomeric bearings used generally as bridge bearings absorb the displacements of the superstructure using their rubber characteristics. Elastomeric bearings should make sure their shear fatigue performance not to impede the durability of bridge system. In this paper shear fatigue tests were performed and stiffness were measured through the shear fatigue tests. Tests results show the measured stiffness of elastomeric bearings have no specific tendency. This paper found that elastomeric bearings show bad shear performance or fail early if elastomeric bearings are manufactured with a doublefold elastomeric layer.

교량받침은 상부구조물의 변위를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교량 받침으로 일반적인 탄성받침은 고무 자체의 전단변형 특성으로 상부구조물의 변위를 흡수한다. 공용 수명동안 받침 자체의 파괴 또는 받침의 기능 저하로 인하여 교량의 내구성을 저해하지 않기 위해서는 탄성받침의 피로내구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온도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상부구조물의 변위를 수용하는 탄성받침의 전단성능 내구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단피로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탄성받침을 구성하는 한 층의 내부 고무층을 여러 겹의 고무로 겹쳐서 제작하는 제작 관행이 탄성받침의 전단성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전단피로실험 결과 전단피로반복 회수에 따라 강성변화에 대한 특정한 경향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하지만 두꺼운 내무 고무층을 갖는 받침을 제작하는 경우 일부 업체에서는 관행적으로 여러 층의 고무를 겹쳐서 한 층의 내부고무층이 되도록 제작하는데 이 경우에는 받침의 전단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되거나 받침이 조기에 파괴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