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remental Study on Connections Friction Test of Improvement for Coastal Environment Block

Coastal Environments 블록의 개발을 위한 연결부 마찰 실험

  • 김춘호 (중부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상훈 (중부대학교, 구조연구실)
  • Published : 2008.11.07

Abstract

The plain and simple shape water front structure were designed and installed for wave protection and wave resistance. But the installation of these plain and simple structure cause deficiency of environmental affinity. Also the resonance phenomena from the reflective wave and shipwave of the harbor incident wave caused high tide and wave, consequently maintaining the tranquility of inside harbor, give difficulty for mooring the ship and loading-unloading, increase the possibility of ship collision at the quray wall and landing place To solve these problems, we develop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wave dissipation block. And installation efficiency, stability of the blocks through experiment of C.E Block Joint.

최근 지구 온난화 현상에 따른 해수면 상승으로 삼면이 바다에 접한 우리나라는 향 후 많은 피해가 예측되므로 이에 따른 방호개념으로 기존의 단조로운 형상과 비 자연친화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치 및 연안침식방지 기능부재로 인한 또 다른 피해가 발생된다. 국민소득의 증대와 Waterfront 개념의 빠른 확산으로 연안 어항의 낙후된 시설개선 등에 많은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이러한 용도에 맞는 자연 친화형 구조물이 개발된 바 없어 기존의 Solid Block, Igloo Block, Tunnel Block 등이 일부 현장에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선박이 계류하는 안벽이나 물양장 등에서 항내 진입파와 항파 등으로 인한 반사파의 발생에 의한 공진현상으로 항내파고가 높아져 정온도유지가 어렵고 선박의 계류 및 하역에 지장을 주게 되며, 선박과의 충돌 발생으로 인한 소형선박의 손괴 발생율이 높은 실정이므로 새로운 형태의 블록(Block)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개발한 C.E(Coastal Environments)블록을 현장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단키 부분의 내하력 평가가 요구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C.E 블록의 연결부 시험편을 제작하여 C.E블록 경계면의 마찰실험을 실시하였으며, C.E블록 연결부의 마찰계수를 측정하여 분석한 다음 C.E블록의 연결부 마찰계수를 평가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