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bout China painting techniques which be used in post design

중국 수묵기법을 활용한 포스터디자인 사례분석에 관한 연구

  • Huanf, Qin (Dongseo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IT) ;
  • Kim, Se-Hwa (Dongseo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IT) ;
  • Ahn, Byoung-Jin (Dongseo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IT)
  • 황금 (동서대학교 디자인&IT대학원) ;
  • 김세화 (동서대학교 디자인&IT대학원) ;
  • 안병진 (동서대학교 디자인&IT대학원)
  • Published : 2008.05.01

Abstract

Traditional Chinese painting, which had formed a language of Chinese peculiar painting art, had begun from modern poster designs and tied up with the range of the various visual art, It is not only to convey information but also show the traditional Chinese culture thinking to audiences through pen, ink and depth of color, Traditional Chinese painting divided the method of painting into ink graphics performance, ink performance technique, Performance of ink brushwork, then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their characteristics.

중국의 독특한 회화예술언어를 형성하고 있는 전통 수묵화는 현대 포스터디자인을 비롯한 다양한 시각디자인분야와 결합하여 커뮤니케이션 메시지의 전달 뿐만 아니라, 작품을 감상하는 이들에게 먹과 붓, 농담을 통해 중국 전통의 사유(思惟)철학까지 함께 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에서 수묵화기법을 사용하고 있는 포스터를 종류별로 분류하여 각 종류의 포스터에서 어떻게 수묵기법이 주로 활용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다양하게 사용되는 포스터의 수묵화 기법을 수묵이미지표현, 수묵필법표현, 수묵필치표현으로 분류하고 각 표현법별 특징을 분석하도록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