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Developing Smart Component through the Analysis on Architectural Scheduling and internal Material

건축공종 및 내부자재별 친환경평가 분석을 통한 Smart Component 개발에 관한 연구

  • 김재원 (한양대학교 건축환경공학과) ;
  • 정병우 (한양대학교 건축환경공학과) ;
  • 김선식 (한양대학교 건축환경공학과) ;
  • 이상효 (한양대학교 건축환경공학과) ;
  • 박인숙 (한양대학교 건축환경공학과) ;
  • 김재준 (한양대학교 건축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6.11.11

Abstract

When it comes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throughout all the industries, it is adopted to regulate carbon dioxide emissions in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And we must be responsible for promoting the eco-friendl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because of a registration of the Kyoto protocol. Almost all the domestic buildings have many problems that not only waste the resources and architectural energy, but also are not enough to recycling of the waste. So m this study the environment-friendship is estimated through assuming carbon dioxide emissions. And after indicators are derived through surveying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it is carefully thought to develop the Smart Component that increase the length of life and the flexibility and improve the comfortable circumstance in buildings.

환경보전과 경제발전에 대한 문제가 전 산업에서 등장하면서 리우환경회의에서 $CO_2$ 배출규제가 채택되었고, 우리나라도 교통의정서에 서명함으로서 친환경 및 지속가능한 개발을 추진해야하는 의무를 가지게 되었다. 국내 건축물은 조기전면 철거와 재건축으로 인한 자원 및 건설에너지의 낭비와 폐자재 재활용 미흡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의 $C0_2$ 배출량을 추정하여 건축물의 환경친화성을 평가하고, 주거만족도 설문조사를 통해 현 국내건축물의 문제요소를 도출하여 건축물의 수명과 유연성을 증대하고 실내 건축 환경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Smart Component 개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