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CM Model for BTL Projects in a Public Educational Facilities

공공교육시설 BTL사업의 CM적용모델 개발

  • Published : 2006.11.11

Abstract

After the revision of Private Investment Law in January 2005, BTL is introduced to expand the social infrastructures as a major business procedure. Especially, the size of the public educational infrastructure ordered by each city education office is increased by 45% compared to last year, so it is major in BTL Project. However,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BTL Project by now, there are a lot of problems specially in the public educational infrastructure. As a result, this study gives the solutions in the process of BTL Project, the CM models to support the Education Office${\square}{\square}$job and the suggestions for the working scope of the participating construction companies.

2005년 1월 민간투자법 개정과 함께 BTL방식이 도입되어 생활기반시설을 확충하는 주요 사업방식으로 정착되어 가고 있다. 특히 BTL방식 대상시설 중 각 시도 교육청이 발주하는 공공교육시설사업은 전년 대비 그 규모가 45% 증가되며 BTL방식의 주요 핵심사업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수행된 BTL사업 추진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으며, 공공교육시설사업에서는 교육청과 민간사업자의 역할이 바뀌면서 사업진행이 원활하지 않고 많은 문제점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TL사업 추진절차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교육시설사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교육청 업무를 지원할 수 있는 CM적용모텔을 개발하고, 그에 따른 각 사업 참여주체별 업무범위를 제안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