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립학교 시설물 유지관리 업무 ${\cdot}$ 조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A Study on the Maintenance Work ${\cdot}$ Organization Problem and Improvement for Public Educational Buildings

  • 발행 : 2006.11.11

초록

2005년 8윌 현재 우리나라 공립 초 ${\cdot}$${\cdot}$ 고교 교육시설은 9,007개가 운용되고 있다. 그러나 향후에는 인구감소 등으로 인하여 시설물의 신축보다는 기존시설물의 합리적인 이용에 더 큰 관심과 예산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교육시설물 유지관리는 예방보전이 아닌 사후보전에 의존하고 있고, 유지관리 조직 및 체계가 구축되지 못하여 시설물 노후화 및 예산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공립학교 시설물의 유지관리를 검토하고, 기존 유지 관리 조직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개선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As of August 2005, there are 9,007 facilities for public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Korea. But because of depopulation, hereafter it is expected to allocate much more budget and interest to utilizing the existing facilities reasonably rather than new buildings construction. At present the maintenance of educational facilities is depend on not a preventive but a post preservation. And there is no established maintenance organization and system, which causes both facility deterioration and squandering of the nation's resources. Thus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 maintenance system of established public school facilities and to improve the system which is enable to maximize the efficiency for the existing maintenance organiz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