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분석을 통한 우리 춤동작의 특성 이해

Understand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performance by image analysis

  • 엄태영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
  • 박한훈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
  • 박종일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
  • 김운미 (한양대학교 체육대학 무용학과)
  • Uhm, Tae-Young (Division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
  • Park, Han-Hoon (Division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
  • Park, Jong-Il (Division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
  • Kim, Un-Mi (Department of Dance, Hanyang University)
  • 발행 : 2006.02.13

초록

우리 춤은 우리 고유의 정서를 담고 있는 종합예술이므로 우리 춤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춤 동작의 정량적인 분석을 통한 감정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우리 춤에 내포된 감정 패턴의 변화를 살펴본다. 먼저 한국 전통춤으로부터 무용전문가들의 정성적 분석에 기반하여 추출된 우리 춤사위를 정해진 각 감정별로 재구성하여 창작하고 창작된 우리 춤을 무용전문가가 시연한다. 이를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하고, 영상처리를 통해서 시연자의 실루엣을 뽑아낸 후, 정량적 특징량들을 추출한다. 이어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각 감정별 춤사위를 학습 시킨 후, 임의의 춤사위에 내포된 감정을 인식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면, 좌, 우 세 시점에서 획득된 다시점 영상을 이용하여 학습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그리고, 시스템에 의해 인식된 감정 패턴과 변화의 정성적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무용전문가들에 의해 정립된 정성적 분석 결과와 비교, 분석한다. 이는 정성적인 분석에만 국한되던 우리 춤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분석을 통한 이해의 차원으로 확장시키는 것으로, 우리 춤의 특성을 새롭게 정의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다양한 장르의 한국 전통춤 가운데 우리 춤을 대표할 수 있는 춤사위를 선정하고, 정성적/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우리 춤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체계적인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