햅틱 변형을 이용한 반응형 디지털 문화 체험

Responsive Digital Heritage Experience with Haptic Deformation

  • 이범찬 (광주과학기술원 인간-기계-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구실) ;
  • 박정철 (광주과학기술원 지능 설계 그래픽스 연구실) ;
  • 김종필 (광주과학기술원 인간-기계-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구실) ;
  • 이관행 (광주과학기술원 지능 설계 그래픽스 연구실) ;
  • 류제하 (광주과학기술원 인간-기계-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구실)
  • Lee, Beom-Chan (Human-Machine-Computer Interface Lab., Department of Mechatronics,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Park, Jeung-Chul (Intelligent Design and Graphics Lab., Department of Mechatronics,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Kim, Jong-Phil (Human-Machine-Computer Interface Lab, Department of Mechatronics,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Lee, Kwan-H. (Intelligent Design and Graphics Lab, Department of Mechatronics,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Ryu, Je-Ha (Human-Machine-Computer Interface Lab, Department of Mechatronics,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발행 : 2006.02.13

초록

본 논문은 광주과학기술원(GIST)에서 개발하고 있는 전남지역 '운주사'의 천불천탑 설화를 근간으로 한 반응형 가상 문화 체험 시스템(Responsive Multimedia System for virtual storytelling)의 햅틱 변형 상호작용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디지털 문화재 체험 시스템은 사실적인 체험을 제공하기 위해 시각 및 청각 기술 개발에 많은 연구 및 노력이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최근 인간의 인지 체계의 중요 요소인 촉감 상호작용의 중요성이 증대 됨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가상 문화재 체험을 위한 햅틱 변형 알고리즘 및 상호작용 시스템을 개발하여 가상 불상을 만져보고 그 표면을 변형시키게 함으로써 몰입감을 증대하고 재미를 주는 시스템을 제공하였다. 아울러 체험의 몰입감 증대를 위해 본 시스템은 시/청각과 더불어 청각 효과를 가미하여 체험 시 발생되는 주변 환경의 소리(새, 물, 바람소리)를 제공하고, 기존의 문화체험 시스템과의 차별성을 위해 3 차원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체험자가 직접 가상 불상을 변형시키면서 체험자 고유의 작품을 만들어낼 수 있는 상호작용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안된 햅틱 변형 상호작용 시스템은 체험자의 능동적 참여 및 흥미 유발을 통하여 문화 유산에 대한 교육적 효과 및 관심 증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