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ing status of the Preparedness and Response System for HNS accident

HNS 해상사고 대비.대응체제구축 추진현황

  • Im, T.S. (Marine Pollution Response Division of Korea Coast Guard) ;
  • Lee, S.H. (Marine Pollution Response Division of Korea Coast Guard) ;
  • Choi, J.W. (Marine Pollution Response Division of Korea Coast Guard)
  • Published : 2006.05.12

Abstract

The regulation of HNS has been intensified by the international trends including OPRC-HNS Protocol and '96 Convention which was driven by the high amounts of cargo.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HNS that would possibly bring potential damage with personnel and assets, effective management and prompt actions are required definitely. In order to respond effectively against HNS accidents, Korea Coast Guard (KCG) is in the process q development of HNS accident response manual and information system which allows On-Scene Coordinator(OSC) and personnels for rescue including an information for hazardous materials, sensitive area to be affected, solution methods and more. Furthermore, KCG is also building up establishment of national and local contingency plans for HNS in accordance with OPRC-HNS Protocol. It is also advised to proceed for the government to solve the anticipated obstacles that include protection equipments to get close to the site, experts allowing to manage accidents and organizations specialized for overall HNS related matters. The proposed issues described above are planned to conducted on basis of government.

위험 유해물질 (HNS)은 해상 물동량증가로 대형유출사고 위험성이 높아지고 국제적으로 OPRC-HNS 의정서 및 '96HNS 협약 채택으로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HNS는 유출시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동반하기 때문에 철저한 관리와 사고발생시 신속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해양경찰청에서는 우리나라 해역 실정에 맞고 위험 유해물질 사고시 물질위험 정보, 위험 지역 예측, 해결 방법 등을 실시간으로 현장지휘관과 경비 함정, 구조대원에게 제공하는 HNS 사고 대비 대응시스템과 사고 대응매뉴얼을 개발하여 운용하고 있다. 또한, OPRC-HNS 의정서 국제발효에 대비하여 HNS 유출사고 국가 및 지역방제계획 수립을 추진하고 있으나, 법과 제도를 마련하고 기름방제방법과 다른 HNS 물질별 방제장비와 자재, 사고현장에 접근하기 위한 보호 장구 확보 및 HNS 의 관리부터 사고처리까지 담당하는 전문 인력 및 전담기구 설치는 장차 해결해야 할 문제로 국가차원에서 적극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