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신비젼 시스템을 이용(利用)한 스크랩 자동선별(自動選別) 연구(硏究)

Machine vision applications in automated scrap-separating research

  • Kim, Chan-Wook (Research Institute of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RIST)) ;
  • Lee, Seung-Hyun (Research Institute of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RIST)) ;
  • Kim, Hang-gu (Poahng Iron & Stee Co., Ltd.(POSCO))
  • 발행 : 2005.05.19

초록

본 연구에서는 색도인식이 가능한 머신 비젼시스템을 설계 제작하고 제작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철스크랩에 혼합되어 있는 Cu 스크랩을 자동으로 분리하는 시험연구를 행하였다. 머신비젼시스템은 크게 측정부, 이송부 및 ejector로 구분되며 CCD카메라, 광원 및 frame grabber로 구성된 측정부에서 이메지 프로쎄싱 알고리즘에 의해 이송되어 오는 스크랩 표면의 색도를 인식하게 된다. 또한 그 인식결과에 따라 I/O interface가 구성된 콘트롤러에 의해 에어노즐을 작동하도록 하여 임의로 지정한 특정한 표면색상의 스크랩만을 분리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시스템을 이용하여 철스크랩에 포함된 Cu스크랩의 분리시험을 행한 결과, 스크랩 이송속도가 15m/min.에서 90% 이상의 분리효율을 나타내어 향후 분리효율의 고속화가 실현될 경우 산업적으로 적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In this study, the machine vision system for inspection using color recognition method have been designed and developed to automatically sort out a specified material such as Cu scraps or other non-ferrous metal scraps mixed in Fe scraps. The system consists of a CCD camera, light sources, a frame grabber, conveying devices and an air nozzled ejector, and is program-controlled by a image processing algorithm. The ejector is designed to be operated by an I/O interface communication with a hardware controller. The sorting examination results show that the efficiency of separating Cu scraps from the Fe scraps mixed with Cu scraps is around 90 % at the conveying speed of 15 m/min. and the system is proven to be excellent in terms of its efficienc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system can be commercialized in shredder firms, if the high-speed automated sorting system will be realiz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