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a blood-type and a personality in casting character of animation

애니메이션 캐릭터 캐스팅에 있어 혈액형과 성격의 상관성 분석 연구

  • Published : 2005.05.01

Abstract

In recent, the blood type waken the reader's interest in the field of movie, music, and education. Now, the blood type is far better than was anticipated in every aspects of life than a personal taste and appear as a familiar topic of story telling in modem life-style. Long time ago in Japan, the blood type was used to a casting of character and a consistent personality. In this study, the types of personality is combined with a blood type and devided with a frame of types. Also, personalities of character are observed and compared in a general animation which not applied a blood type. In particular, a personalities of family in animation are analized through a blood type and applied by character. Also, the blood types based on character of families get an appeal of audience. From now on, it will expect a variable analysis of animation, and needs for a continuous study not only blood type between families but relationship between blood types.

최근 영화나 음악, 교육 분야에 있어 혈액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혈액형은 이제 단순한 취미 생활을 넘어서 우리 삶의 곳곳에서 활용되어지고 있고, 현대의 생활 양식에서 스토리텔링의 친근한 소재로서 등장하고 있다. 오래전부터 일본에서는 애니메이션뿐만 아니라 캐릭터 콘텐츠 제작에서 캐릭터 설정에 혈액형을 적용시켜 캐릭터의 성격 설정에 일관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애니메이션에 제시되는 혈액형에 따라 캐릭터의 설정이 정해지고 또한 많은 사람들이 캐릭터의 성격에 공감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혈액형 성격 유형을 요약하여 분석틀을 만들어, 혈액형이 적용되지 않은 애니메이션에서는 캐릭터의 성격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관찰하여, 분석틀과 비교하여 본다. 특히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가족들의 성격을 분석하여 혈액형 성격 유형 분석틀에 적용시켜보면 캐릭터에 혈액형을 부여할 수 있고, 적용된 혈액형의 성격을 통해 캐릭터에 관객이 공감할 수 있는 성격 부여가 가능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향후 다양한 애니메이션 분석을 통해 혈액형과 성격의 상관성 분석이 있어야 하고, 가족의 혈액형 관계뿐만 아니라 주변 인물들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