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Cross Beam on the strength and Stiffness of the Frame in Shuttle Car for LMIT

LMTT용 Suhttle Car의 Frame 강도 및 강성에 미치는 Cross Beam의 영향

  • Lim J. H. (Graduate school of Donga University) ;
  • Han G. J. (Division of mechanical engineering, Donga University) ;
  • Lee K. S. (Division of Electronics, Electronics and Computer engineering, Donga University) ;
  • Han D. S. (Graduate school of Donga University) ;
  • Shim J. J. (Graduate school of Donga University) ;
  • Lee S. W. (Graduate school of Donga University) ;
  • Jeon Y. H. (Korea Container Terminal Authority)
  • 임종현 (동아대학교 기계공학과 대학원) ;
  • 한근조 (동아대학교 기계공학과) ;
  • 이권순 (동아대학교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
  • 한동섭 (동아대학교 기계공학과 대학원) ;
  • 심재준 (동아대학교 기계공학과 대학원) ;
  • 이성욱 (동아대학교 기계공학과 대학원) ;
  • 전영환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
  • Published : 2004.11.01

Abstract

According as the quantity of goods transported by ship is increasing about $7\%$ per year, a port environment is rapidly changing. To meet this situation successfully, the development of the next generation port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LMTT) is studied. A Frame of shuttle car for LMTT(Linear Motor-based Transfer Technology) consist of three parts which are outer beam inner beam and cross boom. Outer boom supports a container and inner boom is a framework and cross boom reinforces outer and inner boom.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the finite element analysis for the effect of cross boom on the strength and stiffness qf the frame according to the number if cross beam leading position of container, the distance ratio if inner boom from center.

세계 컨테이너 무역 규모가 연간 $7\%$씩 증가함에 따라 항만 환경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항만의 변화에 성공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차세대 항만하역시스템인 LMTT(Linear Motor-based Transfer Technology)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LMTT용 Shuttle car의 frame부는 컨테이너를 지탱하는 outer beam, frame의 뼈대가 되는 inner beam, 두 beam을 연결시켜 보강하는 cross beam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frame은 설계하기 위하여 cross beam의 개수, 하중 재하 위치 및 inner beam의 위치에 따른 outer beam과의 거리 비 등이 frame의 강도 및 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