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분리(NF, UF)를 이용한 자연유기물(NOM) 제거에 관한 연구(II) - NF, UF 운전특성과 HAA생성능 제거 -

  • 송양석 (광주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수질연구소) ;
  • 박용훈 (광주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수질연구소) ;
  • 조영관 (광주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수질연구소) ;
  • 조재원 (광주과기원 환경공학과) ;
  • 박돈희 (전남대학교 응용화학공학부)
  • Published : 2003.04.11

Abstract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removal efficiency of natural organic matters(NOM) in the Ultrafiltration(UF) and Nanofiltration(NF) membranes with molecular weight cutoff of 2500(GH), 8000(GM) and 250(HL), respectively. Filtration type was cross-flow filtration. The investigation result about raw water structure was hydrophobic 28%, hydrophilic 53% and transphilic 19%, in conjunction with XAD8/4 resin fractionation method. We were compared with UF(GM, GH) and NF(HL), in operation characteristic. In spite of poor MWCO, GM(8000Da) was superior than GH(2500Da), in the efficiency of total operation. It was showed the NF(HL) 80%, UF(GM) 50%, in the removing efficiency of HAAFP.

막분리 공정을 모형시설에 도입 후 약 2년간에 걸쳐 막의 구성을 달리하여 운영하였으며, 원수 및 처리수의 수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원수의 수질특성은 친수성 물질이 53%, 소수성 물질 28% 나머지는 반친수성물질로 구성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UF 및 NF 처리수의 분자량 분포를 조사한 결과 원수와 달리 큰 분자량을 갖는 부분이 제거된 것을 볼 수 있었다. UF와 NF의 막분리 공정운전 결과를 종합해 본 결과, UF막인 GH(2500Da)와 GM(8000Da) 경우 GM이 생산량 및 운전특성에서 GH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보여 주었으며, NF막인 HL$(150{\sim}300Da)$과 GM의 비교 운전한 결과 NF막인 HL의 유기물 제거 효과가 우수한 것을 보여 주고 있다. 그러나 UF막인 GM의 경우 MWCO가 8000Da로 NF막인 HL에 비해 큼에도 불구하고 유기물 제거 면에서 상당히 우수한 유기물 제거 효과를 보여 주었으며, 소독부산물의 생성능 평가에서도 50%이상의 양호한 제거 효과를 보여 주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