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피동문의 구조와 기능의 의미

The Pattern of the Passive Construction in Korean and its Semantics

  • 목정수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 조수경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 한선혜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 김윤신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 이정민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 Mok, Jung-Soo (Institute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o, Soo-Kyung (Institute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Han, Seon-Hye (Institute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Yoon-Shin (Institute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Chung-Min (Department of Linguist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3.10.10

초록

한국어 피동구문에서 출현하는 '가형 성분'에 대해 어떤 통사적 기능을 부여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는 조사 자체에 대한 인식과 밀접한 관련을 맺을 뿐만 아니라 한국어 구문 분석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위를 차지한다. 본 고에서는 논리명제적 차원에 머무는 분석보다는 언어의 발화행위 차원을 고려하여 문장의 형식을 고려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문장을 조사와 어미를 중심으로 하여 인칭과 서법 요소들을 통해서 볼 때, 문장 성분에 대한 인식이 달라질 수 있음을 '피동동사'를 중심으로 제시했다.

키워드